우종학
▲우종학 교수는 “생물이 역사적으로 진화해 왔고, 과학이 그 원인을 어느 정도 규명했으니 ‘신은 없다’는 주장은 말 그대로 주장일 뿐”이라며 “왜 진화와 진화 이론이 무신론만을 지지하는가? 이것이 내가 가지고 있는 문제의식”이라고 했다. ⓒ김진영 기자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성경은 마치 선언과도 같은 이 말로 시작한다. 그리고 그 이야기는 창세기 1장에서 끝난다. 성경 66권 1,189장 31,102절 중 단 한 장, 31절 만에. 그래서 우리는 그 과정이 구체적으로 어떠했는지, 이 우주와 지구, 특히 인간이 어떻게 창조됐는지 자세히 알 수가 없다. 단지 하나님께서 이 모든 만물을 창조하셨다는 사실을 신앙으로 고백한다.  

그런데 간혹 이것을 따져 물어오는 이들이 있다. 주로 비기독교인들이다. 눈부신 과학의 발전으로, 생명의 기원마저 설명할 수 있다는 그들은 과연 신(神)이 있는지 의문을 제기한다. 여기에 대한 기독교의 반응은 크게 두 가지였다. 회피하거나 맞서거나. 문제는 후자다. 어떻게 맞설 것인가? 맞서야만 하는가?

지금까지 기독교는 대개 회피하는 쪽에 가까웠다. 기독론이나 구원론만큼 정립된 '창조론'이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마냥 두고 볼 수만은 없다. 인본주의가 팽배하고, 진화론이 맹위를 떨치는 시대, 기독교는 그 신앙을 변증해야 하는 시대적 사명 앞에 있다.

이에 본지는 기독교 신앙을 가진 과학자를 만났다. 우종학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교수다. 그는 과학과 무신론의 도전에 응전하고 균형 있는 창조신앙을 세우기 위한 단체인 '과학과 신학의 대화'(과신대)를 이끌고 있다. 아래는 그와의 일문일답.

진화, 진화 이론, 진화주의

-진화론을 과학으로 여겨, 이를 근거로 창조론, 나아가 신까지 부정하는 이들이 있다. 진화론은 정말 과학인가?

"그 전에 한 가지 분명히 하고 싶은 게 있다. 흔히 진화론이라는 말로 단순히 표현하지만, 이 말 안에는 진화와 진화 이론, 그리고 진화주의라는 서로 다른 세 가지 개념이 뒤섞여 있다. 이것을 구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에도, 우리가 그렇게 하지 않고 있다는 데 1차적인 문제가 있다.

진화라는 건 일종의 경험적 데이터다. 화석 등을 통해 관찰해 보니 각 종(種)이 단순한 것에서 복잡한 것으로 진화해 왔다는, 일종의 발견이다. 진화 이론은 그런 진화가 왜 일어나는지에 대한 과학적 설명이다. '자연선택'이라든지 '유전자 변이' 같은 용어들이 바로 진화 이론을 정립하는 데 쓰였다.

문제는 진화주의다. 이것은 과학이라기보다 차라리 하나의 철학이나 사조에 가깝다. 무신론이 바로 진화주의에 해당한다. 즉, 생물이 역사적으로 진화해 왔고, 과학이 그 원인을 어느 정도 규명했으니 '신은 없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이는 말 그대로 주장일 뿐이다. 왜 진화와 진화 이론이 무신론만을 지지하는가? 이것이 내가 가지고 있는 문제의식이다. 다시 말해, 그와 같은 과학적 발견과 이론이 반대로 유신론을 지지할 수도 있다는 얘기다."

-그럼 진화와 진화 이론은 과학으로 받아들인다는 얘긴가?

"말했다시피 진화는 그저 하나의 발견으로, 과학이냐 아니냐를 논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가령 약 46억 년의 지구 역사에서 영장류의 화석은 다른 것들보다 후대에 나온다. 그러므로 그 현상 자체를 부정할 수는 없다고 본다. 문제는 진화 이론인데, 나는 생물학자가 아니다. 천문학자로서 구체적인 진화 기제는 잘 알지 못하고 크게 관심이 있는 것도 아니다. 그걸 밝혀내는 건 생물학자들의 몫이다. 다만, 같은 과학자로서 지금까지 그들이 연구해 광범하게 합의한 것들에 대해서는 존중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런데 다시 한 번 말하지만, 진화 이론을 과학으로 인정한다고 해서 그것이 하나님과 그 분의 창조를 부정한다는 의미는 결코 아니다."

-그러니까 진화주의가 아닌 진화나 진화 이론이라면 그것이 반드시 창조론과 대립하지 않는다는 건가?

"그렇다. 하나님께서 진화를 창조의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 아닌가? 많은 이들이 창조하면 마치 마술처럼 무언가를 '뿅' 하고 갑자기 나타나게 하는 이미지만 떠올린다. 이건 기독교인이나 아니나 마찬가지인 것 같다. 하지만 그렇지 않을 가능성도 충분히 생각해 볼 수 있다.

기독교인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높은 산에 올라 자신을 압도하는 절경 앞에서 창조주의 위대함을 느껴본 적이 있을 것이다. 따지고 보면 눈앞에 펼쳐진 기암괴석과 구비치는 계곡은 풍화와 침식의 결과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그걸 보고 누구하나 하나님이 없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 반대일 가능성이 더 높다. 인류의 기원 문제에 있어 진화와 진화 이론도 본질적으로 이와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우종학
▲그는 “성경이 하나님의 특별계시라면 자연은 일반계시에 해당한다. 그리고 그런 일반계시를 이해할 수 있는 틀이 바로 과학”이라고 했다. ⓒ김진영 기자
"종교와 과학, 양립할 수 있다!"

-하지만 인류 역사에서 창조론과 진화론, 나아가 신앙과 과학은 대척점에 있지 않았나? 지금도 그렇고.

"그랬던 것만은 아니다. 오히려 그 둘은 서로 밀접한 관계에 있었다. 유럽을 중심으로 일어난 근대의 과학혁명은 종교개혁을 그 사상적 배경으로 하고 있다. 당시 과학적으로 더 앞서 있었던 건 중국이나 인도를 비롯한 동양과 이슬람권 국가들이었지만 근대과학의 성립에 있어서는 유럽에 뒤지고 말았다. 아마 유럽인들은 그들 사회를 지배하고 있던 기독교, 즉 그 신을 합리적이라고 믿었고, 이것을 자연 탐구의 철학적 근거로 삼았던 것 같다. 실제 근대과학을 일으킨 수많은 과학자들 중 기독교인들이 많았다. 그 동기 역시 하나님의 창조세계에 대한 호기심이었다.

그런데 종교와 과학을 대척점에 두고 그 둘 사이의 갈등을 부각시킨, 이른바 '종교 VS 과학'이라는 구도가 상업적 의도 등과 맞물리며 대중에 각인되기 시작했다. 매스 미디어의 영향도 어느 정도 있었을 것이다. 또 리처드 도킨스와 같은 무신론 과학자들이 그렇게 몰고 간 측면도 있다.

나는 종교와 과학이 얼마든지 양립할 수 있다고 본다. 앞서 기독교 창조론이 진화와 진화 이론을 수용할 수 있다고 한 것도 이런 판단 때문이다. 성경이 하나님의 특별계시라면 자연은 일반계시에 해당한다. 그리고 그런 일반계시를 이해할 수 있는 틀이 바로 과학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성경을 통해 하나님을 주로 고백하듯이, 과학을 통해 대자연을 만드시고 섭리하시는 하나님을 창조주로 고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지만 과학자들 중에는 무신론자가 더 많은 것처럼 보인다.

"정확한 통계야 알 수 없지만, 개인적으로는 그렇게 보지 않는다. 아마 무신론자보다, 신과 같은 초과학 초경험의 세계는 확신할 수 없다는 불가지론(不可知論)자가 더 많을 것이라는 게 내 추측이다. 사실 우리의 삶은 과학으로 입증할 수 없는 게 너무나도 많다. 왜 거짓말을 하거나 남의 것을 빼앗으면 안 되는 것인가와 같은 윤리적 질문은 과학만으로는 도저히 해결할 수 없는 문제다. 따지고 보면 과학으로 증명할 수 없으니 결국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론내리는 것이야 말로 과학적인 태도가 아니다. 물론 나처럼 기독교 신앙을 가진 과학자들도 많다."

"광대한 우주보다 더 크신 이가..."

-창조론에 특별히 관심을 갖게 된 계기가 있었나?

"나는 모태신앙인으로 자랐고, 어렸을 때부터 교회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 초등학교 땐 밤하늘을 보며 별 자리를 익히고, 신문이나 잡지에 우주탐사선에 대한 기사가 실리면 그걸 오려 스크랩하는 걸 좋아할 정도로, 우주에 대한 호기심도 많았다. 그러면서 어린 마음에 '이토록 광대한 우주가 존재하려면 그보다 크신 이가 있어야 한다'는 생각을 자연스레 했던 것 같다. 그러니까 나에겐 신앙과 과학이 결코 모순이 아니었다.

그런 내가 기독교 창조론에 관심을 갖게 됐던 건, 대학에서 천문학을 공부한 뒤 석사과정에 들어가면서부터였다. 주변에서 '천문학은 우주의 나이가 대략 140억년이라고 하는데, 이것이 성경의 가르침과 배치되는 것 아니냐? 기독교인인 네가 그런 학문을 해도 되느냐?'고 물어왔기 때문이다.

'아니, 140억년이라는 우주의 나이와 내 신앙이 대체 무슨 관계가 있단 밀인가?' 나로서는 이런 생소한 질문 앞에서 고민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면서 마침내 한국의 많은 기독교인들이 어떤 창조론을 갖고 있는지 알게 됐다. '아, 그들은 지구와 우주의 나이를 대략 6천년에서 1만년 사이로 보는구나!"

이때부터 창조론을 보다 심도 있게 공부하게 됐던 것 같다. 과연 내가 공부하는 천문학이 성경의 가르침과 다른 것인지, 내게 물어오는 이들에게 대답해야 했기 때문이다."

우종학
▲그는 “과학으로 신의 존재와 창조를 증명할 수 있다는 생각은 필연적으로 온 세상 만물을 창조하신 하나님을 과학의 범주로 끌어내리는 오류에 봉착하게 된다”고 했다. ⓒ김진영 기자
-소위 '창조과학'을 말하는 것인가?

"맞다. 지구의 나이가 대략 6천년에서 1만년 사이라는 건 그들의 핵심적 주장 가운데 하나다. 이른바 '젊은 지구론'이다. 하지만 오늘날 과학계에서 이는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물론 그들은 과학을 무기로 삼은 무신론자들의 공격 앞에서 하나님의 말씀과 교회를 지키기 위한 선의에서 그런 주장을 했을 것이다. 그럼에도 그 방법이 틀렸다고 본다.

창조과학이 처음 태동했을 때는 그 이름이 '과학적 창조론'이었다. 즉, 과학으로 신의 존재와 창조를 증명할 수 있다는 생각인데, 이것은 필연적으로 온 세상 만물을 창조하신 하나님을 과학의 범주로 끌어내리는 오류에 봉착하게 된다. 하나님의 존재와 그 당위성이 과학의 힘을 빌려야만 설명될 수 있는 것이라면, 그것이 불가능하게 될 경우 이는 어김없이 무신론자들의 먹잇감이 된다.

예를 들어 어떤 과학적 발견이나 이론이 하나님의 존재를 입증하는 근거라고 주장했을 때, 만약 시간이 흘러 그런 발견과 이론이 틀렸다는 게 밝혀지면, 하나님의 자리는 위협을 받을 수밖에 없다. 마찬가지로 어떤 현상에 대해 섣불리 과학을 배재하고 기적과 같은 하나님 능력을 앞세우면, 훗날 과학이 그와 같은 현상을 증명해 버릴 때도 같은 결과가 초래된다.  

때문에 알리스터 맥그라스 같은 신학자들은 이처럼 자연, 즉 일반계시에서 출발하는 신 존재 입증은 위험하다고 일찍이 경고했었다. 오히려 그 반대, 그러니까 특별계시에 근거해 자연을 보면 그 안에 하나님의 지혜와 지식의 풍성함이 있다는 걸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유신 진화론자? 유신이든 무신이든..."

-많은 이들이 교수님을 '유신 진화론자'라고 부른다. 동의하나?

"사실 인류의 기원에 대한 내 주장이 이거다 라고 잘라 말하거나 그렇게 책에 쓴 적이 없다. 다만 창조과학이 주장하는 젊은 지구론만이 기독교의 유일한 견해가 이니라는 메시지를 전달해 왔을 뿐이다. 그 과정에서 과학계가 말하는 진화 이론도 하나의 창조 방법으로 얼마든지 생각해 볼 수 있다는 점을 언급한 정도였다. 아마 이 때문에 나를 '유신 진화론자'라고 부르는 듯하다.

하지만 이 말에는 동의할 수 없다. 유신이든 무신이든, 그 뒤에 '진화론자'라는 표현이 붙는 이상 그 사람은 '진화주의자'가 되어버리는 까닭이다. 다시 말해 '유신 진화론자'라고 할 때, 그 표현의 이면에는 '저 사람은 사실 진화주의자인데, 그저 유신이라는 단어를 가져다 썼을 뿐'이라는 의미가 있다. 하지만 단언컨대 나는 진화주의자가 아니다. 그것을 반대하는 확고한 창조론자다."

-진화 이론에 따르면, 인간은 지금도 진화의 과정에 있다는 논리적 귀결에 이르는데, 이에 대한 생각은 어떤가?

"한 목회자에게서 비슷한 질문을 받았던 적이 있다. 그 때 내가 '진화 할 것'이라고 했더니,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듯 고개를 설레설레 흔들더라. 하지만 한 번 잘 생각해 봤으면 좋겠다. 인간이 갖는 특별함이 과연 생물학적인 것에만 국한된 것인지를. 우리가 하나님의 형상이라는 건, 하나님께서도 우리처럼 눈 코 입이 있고 손가락이 다섯 개라는 따위의 의미는 아니지 않은가? 그렇다면 단순히 생물학적 인간의 몸이 진화한다고 해서 하나님의 창조물로서의 인간의 존언함이 훼손된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프랑스 같은 유럽의 나라들에 있는 왕궁에 가보면, 과거 왕이 누웠던 침대가 지금과 달리 작다는 걸 확인할 수 있다. 의자도 그렇고 갑옷도 마찬가지다. 인간의 몸이 진화한다는 걸 보여주는 단적인 예가 아닐까 한다. 사실 생물학적 구조로만 보면 인간은 그리 완벽하지 않다. 예컨대 하나의 숨구멍으로 기관지와 식도가 같이 있다는 건, 특히 어린이의 경우 매우 위험할 수 있는 구조다.

하나님께서 흙으로 사람을 빚으시고 그 코에 생기를 불어넣으시니 사람이 생령이 되었다는 창세기의 기록이, 우리가 단지 생물학적 존재만이 아니라는 걸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특별할 수 있는 건 흙 때문이 아니라 하나님이 불어넣으신 생기 때문이다. 존 스토트도 그의 로마서 강해에서 이 부분을 강조했다. 존 스토트 역시 진화의 방법으로 인간이 창조됐을 수도 있다는 걸 인정하는 신학자다."

우종학
▲“오해를 좀 많이 받는다”는 우종학 교수. 그는 “그러나 내 의도는 한 마리의 잃어버린 양과 같이 교회를 떠난 기독교인들을 조금이라도 돕고자 한 것일 뿐”이라고 했다. ⓒ김진영 기자
"잃어버린 한 마리의 양을 위해"

-'과학과 신학의 대화'(과신대)를 이끌고 있다. 왜 시작하게 됐나?

"과학주의 시대, 무신론은 기독교에게 굉장히 큰 도전이다. 그로 인해 신앙을 잃어버리는 이들도 있다. 특히 젊은이들이 그렇다. 이들에게 지구의 나이가 6천년에서 1만년 정도라는 주장은 쉽게 납득이 가지 않는 것이다.

문제의 심각성은 그들이 단지 기독교의 창조론만을 불신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복음 전체에 회의를 느낄 수도 있다는 데 있다. 그래서 과신대를 시작하게 됐다. 과학과 무신론의 도전 앞에 있는 기독교인들이 그 신앙을 '창조신학'이라는 틀 안에서 변증하고, 과학과 신앙의 건전한 대화를 모색해 교회를 돕자는 취지다."

-끝으로 더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오해를 좀 많이 받는다. 심지어 나를 가리켜 기독교인이 아니라거나 성경을 믿지 않는다고 하는 이도 있다. 그러나 내 의도는 한 마리의 잃어버린 양과 같이 교회를 떠난 기독교인들을 조금이라도 돕고자 한 것일 뿐이다. 앞으로는 이런 시각으로 나를 봐주었으면 좋겠다(웃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