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태 총장
다산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은 조선 후기의 위대한 인문학자다. 역사상 최다 논저 집필자로서, 다산 연구가 곧 조선사연구라고 할 정도다.

그는 실학을 집대성한 학자이자 사회개혁가였고 방대한 유교 경전을 망라해 해석한 유교 역사상 보기 드문 경학가였으며 어문·역사·지리·과학·의학·예술 등 학문 전 분야에 걸쳐 방대한 저술을 남겼다.

초등학생도 제목을 아는 <목민심서>는 일찍이 동학 농민군이 얻었다는 <구세(救世)의 비기(秘記)>라는 전설을 남겼으며, 고종에게도 올려졌고 베트남 민족 지도자 호치민도 애독한 책이다.

아직도 완역되지 못한 500여 권의 <여유당전서>는 깊은 사색과 수많은 정보가 담겨 있어 마치 정보와 지식의 바다와도 같다. 일찍이 정인보 선생이 "다산 연구는 곧 조선사 연구요. 조선 근대 사상 연구"라고 선언했듯, 다산의 사상은 민족주의자, 사회주의자, 자유주의자 등의 모든 개혁운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는 자유자재의 지식경영법을 운용한 신지식인의 표상으로 인정된다. 다산은 실학, 그 중에서도 남인 실학(南人 實學)의 지적 전통에 서있었다. 남인 실학은 성호(星湖) 이익(李瀷) 이래 토지와 사회제도 개혁을 통한 이상사회 구현에 관심을 기울였다. <여유당전서>의 절반을 차지하는 경학(유교경전 해석학)의 궁극적 지향 역시 토지 공유에 기반을 둔 정의로운 공동사회 구현이었고, 지고지순한 도덕적 존재의 현현(顯現)을 통한 지배계층의 각성이었다.

이런 점에서 다산은 당대의 기성 유학인 성리학을 질타한 유학의 근본주의자였다. 넓게 보면 다산은 유학자였지만, 굳이 유학의 틀 안에만 갇혀있지는 않았다.

18년의 유배생활은 전도양양했던 고위관료가 백성의 삶에 가까이 다가감으로 인도주의자로 거듭나는 계기가 되었다. 일반 백성(民草)들의 고통 그리고 그 뒤에 도시리고 있는 부조리한 사회구조에 대한 그의 날카로운 고발은 당대의 어떤 기록이나 문학보다 더 생생하며 지금도 우리들의 가슴을 울린다.

연민의 폭이 넓은 만큼 그의 개혁 방안은 그 누구보다 치밀하고 웅장했다. 그것은 지식인의 사회적 책임이 어떠해야 하는지를 생생히 보여주고 있다. 인애(仁愛)에 기반을 둔 인도주의(humanism) 정신이야말로 그를 오늘의 인물처럼 생생하게 만들고 있다. 휴머니즘(humanism)에 기초한 실천으로 다산은 시공을 초월한 스승이 되었다.

그렇다 해도 그의 개별학문, 즉 각론이 갖는 현재성의 문제는 남는다. 그의 학문적 성과는 전근대와 근대를 이어주는 든든한 다리가 되었다. 하지만 이제 그가 이룩한 지식과 가치의 통합방식을 재음미할 시점에 이르렀다. 그래야 개인과 객관의 조화에서 출발했던 사유를 되살리는 과업이며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새로운 가치 탐색의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한림대 이경구 교수의 글 참조).

<목민심서> 서문에 이런 내용이 있다. "성인의 시대가 멀어져 말씀까지 사라지자, 성인의 도가 잠기고 어두워졌다. 오늘날의 정치 지도자들은 오직 자신의 이익을 취하기에만 급급하고 어떻게 백성들을 보살펴주어야 할 것인가를 알지 못한다. 이러하니 힘 없는 백성들만 고달프고 곤궁하며 멍울이 들고 피부까지 옴에 올라 연이어져 도랑이나 골짜기에 버려지는데도 고위 공직자들은 때를 만났다 여기고 좋은 의복과 맛있는 음식으로 자기들만 살찌우고 있으니 어찌 비통하지 않겠는가?"

그는 "백성들을 보살펴 주고 싶은 마음이야 간절하지만 유배 사는 죄인으로서 몸소 실천할 길이 막혔기에 '마음의 책(심서, 心書)'이라고 이름을 지은 것이다(有牧民之心 而不可以行於躬也 是以名之)."

위안부 할머니의 원한이 하늘에 사무치고,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무더기로 해고돼 일자리 때문에 울부짖고, N포시대의 대졸 청년들은 직장을 구하지 못해 주저앉아 있고, 골목상인들이 장사가 안 돼 문을 닫고 있으며, 북한의 무한 도발과 위협 속에 국운이 위태로운 때인데, 나라 살림을 맡은 삼부 요인들은 국가보다 자신만 생각하여 비기(肥己)에만 몰두하고 있으니, 애국(愛國), 위민(爲民)의 자세를 찾아보기 힘들다.

/김형태 박사(한국교육자선교회이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