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념식 참석자들이 만세삼창을 하고 있다. ⓒ이대웅 기자

해방 70주년 3·1절 제96주년 기념식 및 각계 지도자 33인 내·외신 기자회견이 27일 오전 서울 여의도동 국회의사당 본청 귀빈식당 및 정론관에서 개최됐다.

세계한인교류협력기구(상임대표 김영진 장로, W-KICA)와 한일기독의원연맹(대표회장 김영진 장로)이 9년째 공동 주최한 3·1절 기념식에서는 개회선언과 국민의례, 김영진 준비위원장의 개회 인사, 장상 전 국무총리와 송월주 전 조계종 총무원장, 황용대 NCCK 회장의 축사, 김예정 신생교회 협동목사의 축가, 한양원 한국민족종교협의회 회장의 만세삼창, 축하떡 자르기, 장헌일 W-KICA 사무총장의 광고 등의 순서가 진행됐다.

기념식에서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에 대한 노벨평화상 추천과 해외 한인들의 참정권 확대 방안 등이 논의되기도 했다. 이후 국회 정론관에서 정치·종교계 33인의 이름으로 시국선언을 발표했다.

선언문에서는 “최근 일본 정부는 군사대국화를 통한 군국주의 부활을 시도하며 ‘평화헌법 제9조’ 폐지, 수상과 각료들의 야스쿠니 신사 집단참배 강화, ‘무라야마 선언’의 백지화 시도에 이어, 이른바 ‘고노 담화’의 재검증 및 일제 치하 강제징집 근로자 수용시설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추진 등 일련의 비이성적·반평화적 행위를 거듭함으로써,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16개국과의 외교관계를 크게 악화시킬 뿐 아니라 동아시아 평화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고 했다.

또 “더욱이 전후 70년이 지난 지금까지 일본 정부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법적 책임은 물론, 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한 공개 사과와 배상도 거부하고 있다”며 “수많은 여성들을 전시 성노예로 전락시킨 실로 천인공노할 만행을 자행한 일본 정부는, 역사에 대해 철저히 반성하기는커녕 오히려 왜곡하고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을 비하함으로써 사실상 두 번 죽이는 작태를 자행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기념식 후 참석자들은 국회 정론관으로 이동해 내·외신 기자회견을 갖기도 했다. ⓒ이대웅 기자

이에 “제96주년을 맞는 3·1절에 즈음하여 일본 정부의 우경화와 ‘평화헌법 제9조’의 폐지 등 군국주의 부활을 시도하는 행위 등은 동아시아에서의 군사적 긴장을 확대할 뿐 아니라, 인류 공영과 세계 평화를 원하는 우리 모두의 간절한 염원을 짓밟는 반인륜적·반역사적 처사가 아닐 수 없다”고 천명했다.

이들은 이후 일본과 한국 정부, 두 나라 국회에 아래 사항을 요청했다. 일본 정부와 국회를 향해서는 “다시는 전쟁을 일으키지도, 평화를 저해하는 어떤 무력 행동을 하지도 않겠다고 약속한 ‘태평양전쟁 패전국선언’ 당시의 초심으로 돌아갈 것”을 엄중히 촉구했다.

또 “전후 피해를 입은 강제 징병 및 징집 노역자는 물론, 위안부 할머니와 원폭 피해자, 사할린 동포 문제를 조속히 해결함과 동시에, 지금까지도 일본과 해외 각지로 강제 동원되어 사망한 한국인의 유해를 발굴해 본국에 즉시 송환하는 등 당면 미해결과제를 조속히 올곧게 청산할 것”을 요구했으며, “미국 교과서에 동해를 병기하려는 미주 각 의회의 올바른 활동을 저지하고 사실을 왜곡하기 위해, 대형 로펌과 수많은 로비스트를 동원하는 비열한 시도를 즉각 중지하라”고 밝혔다.

한국 정부와 국회에 대해서는 “지난 역사 속에서 우리 국민에게 자행한 일본의 죄를 더욱 분명하고 강력하게 항의함과 동시에, 최근 일본 정부 안에서 새롭게 자행되고 있는 몰역사적·비이성적·반평화적 처사에 보다 적극적이고 강력하게 대처함으로써, 한일관계는 물론 동아시아와 세계 평화를 위해 새로운 화해와 연대관계를 만들어 갈 것”을 요청했다.

‘해방 70주년과 한·일 강제병탄 105주년에 맞은 제96회 3·1절에 즈음하여: 일본의 올바른 역사청산을 촉구하는 각계 33인 시국선언’에는 여야 대표인 김무성·문재인 의원을 비롯, 김삼환·박종구·소강석·이영훈·장종현·전병금·전용재·황용대 목사와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박원순 서울시장, 고건·장상 전 국무총리, 김원기 전 국회의장, 김덕룡 전 정무장관, 박경서 초대 인권대사, 송월주 전 총무원장, 조비오 몬시뇰, 한양원 민족종교협의회장 등 종교계 인사, 김범일 한동대 이사장, 채의숭 대의그룹 대표, 이만열 전 국사편찬위원장, 채수일 한신대 총장 등이 동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