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칼럼

오피니언/칼럼

지난 5년간 정부 종교지원 예산 중 77%가 불교계로

이런 과정에서 불교도 한국 전통종교로 인식돼 국가에서 직·간접적으로 많은 혜택을 받았다. 이는 특히 관광산업 진흥과 함께 시작됐다. 정부는 2002년 한일 월드컵대회를 계기로 외국 관광객 유치와 전통 불교문화 보급을 목적으로 막대한 정부 지원책을 발표했다.…

지방 문화축제의 각종 전통종교 행사, 괜찮니

우리는 위에서 개화기부터 한국 정부의 종교정책을 살펴봤다. 구한말을 포함해 조선 정부는 분명한 종교정책을 갖지 못했다. 그러나 일제는 불교와 유교는 보호하고, 기독교는 견제하며 다른 종교는 박해했다. 해방 후에는 정교분리 원칙 하에 서양 종교인 기독교…

이승만 대통령 시절, 기독교가 받은 오해와 진실

대종교가 민족종교의 기치를 내걸고 신생 대한민국에 단군정신을 불어 넣으려 했다면, 개신교는 반공을 기치로 자유 대한민국을 건설하는데 기여했다. 개신교 국가인 미국이 남한에 진주하고 독실한 기독교 신자인 이승만이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개신교는 남한에…

대한민국 건국 직후 기독교의 위상은 어땠을까

1948년 7월 제정 공포한 대한민국 헌법은 한국 종교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가진다. 헌법 20조는 두 조항으로 돼 있다. 첫째는 ‘모든 국민은 종교의 자유를 가진다’ 이며, 둘째는 ‘국교는 인정되지 아니하며, 종교와 정치는 분리된다’ 이다. 사실 일본도, 1919년 …

‘개신교 국가’ 미 군정, 과연 불교를 홀대했나

Ⅰ. 문제제기: 종교와 국가권력 Ⅱ. 서구 기독교 사회의 변화와 개신교 복음주의 Ⅲ. 한국의 종교시장과 타종교 4. 해방 후 미 군정의 종교정책과 개신교 일제 통치의 해방은 일본에 대한 미국의 승리로 이뤄졌다. 1945년 9월 7일 남한에 진주한 미군은 포고령 제1…

‘선교의 자유’ 위한 사학법 투쟁, 그 뿌리는 일제시대

일제의 통치는 한국의 종교지형을 새롭게 바꿔놨다. 일본은 서양 문명을 받아들였지만, 서양의 정교분리 개념까지 받아들이지는 않았다. 일본은 천황을 국체로 하는 종교 공동체이며, 이런 의미에서 정치와 종교가 분리된 세속 국가가 아니었다. 일본은 신앙의 자…

선교사들은 왜 고종의 ‘개신교 국교화’를 반대했을까

정교분리는 조선 사회에서 매우 낯선 개념이었다. 신라와 고려는 불교 국가였고, 조선은 유교 국가였다. 이것은 한국 사회가 종교를 기반으로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19세기 말에 들어서면서 조선에서 종교를 기반으로 하는 사회 구조가 흔들리기 시작했다. …

복음주의 선교는 ‘종교의 자유’를 가장 강조

근대 기독교 선교에 있어 국가가 종교에 대해 어떤 태도를 갖는가 하는 것은 선교의 방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것은 정교분리를 분명한 원칙으로 하는 미국과 그렇지 않은 러시아나 기타 유럽 국가들의 선교정책을 비교해 보면 잘 드러난다. 다시 말하면…

기독교가 타종교에 비해 정말 배타적일까

하지만 존 로크는 국가가 이런 임무를 감당하면 안 된다고 본다. 로크는 그 이유를 세 가지로 설명한다. 첫째, 시민정부는 계약에 의해 이뤄지는데 시민은 국가에 이런 종교적인 임무를 맡기지 않았다. 둘째, 종교는 근본적으로 인간의 영혼을 다루는 곳인데 세속 정…

다종교 사회에서의 개신교와 국가권력

크리스천투데이는 지난해 12월 박명수 교수가 한국종교학회에서 발표한 ‘다종교사회에서의 개신교와 국가권력’ 논문을 연재합니다. 박명수 교수는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계속되고 있는 이른바 ‘종교편향’ 문제를 기독교적 입장에서 다뤘습니다. 박 교수는 “…
박명수 교수

새 국사교과서, 객관적 기독교 평가 이뤄질 것 기대

필자는 개정교육과정의 목적에 분명한 지지를 보낸다. 하지만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난 국사교과서에서 나타난 종교에 관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보다 온전한 역사 교과서를 만들기 위해 다음 몇 가지를 지적하고자 한다. 첫째, 역사교과서에 개신교…
박명수 교수

개신교는 왜 국사교과서에서 외면당해야 하나

우리는 국사교과서에 나타난 종교 서술상 문제점을 기독교를 중심으로 살펴봤다. 한마디로 국사교과서의 종교 서술은 지나치게 민족주의 중심이다. 그래서 소위 민족종교 내지 전통종교에 대해서는 매우 긍정적이고, 근래에 들어온 종교는 외래 종교라는 이유로 …

한국에 있는 세계 최대교회, 교과서에도 실릴 만한데…

해방 이후 한국 근대사에 있어 종교에 대한 서술은 3차, 4차 국사교과서에서도 전혀 언급되지 않는다. 국사교과서에서 해방 이후 한국 종교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것은 1990년 발행된 5차 교과서부터이다. 5차 교과서에 나타난 종교관련 서술은 다음과 같다(198). 우리…
박명수 교수

일제시대 가장 탄압받은 개신교, 현행 국사교과서에는…

국사교과서가 종교와 관련해 다루고 있는 부분이 일제의 종교탄압이다. 국사교과서는 일본의 민족말살 정책 항목에서 일제와 종교의 관계를 설명한다. 제3차 교과서는 일본이 궁성요배, 신사참배 등을 강요하고 이를 거부하는 종교 학교를 폐쇄했다고 설명한다. 하…
박명수 교수

1907년 평양대부흥, 일본 퇴폐문화 맞선 의미도

이제 우리는 일본 강점기 한국 종교와 기독교를 국사교과서가 어떻게 이해하고 서술했는가를 살펴볼 것이다. 일제시대 개신교 서술은 105인 사건, 3·1운동, 물산장려운동, 신사참배 반대와 같은 사건 등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일본이 조선을 강제 합병한 다음, 조…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