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시위
▲홍콩 도심을 행진하고 있는 홍콩 시위대들의 모습. ⓒChannel 4 News 보도화면 캡쳐

홍콩에서 지난 6월 ‘범죄인 인도법안’(송환법)에 반대하며 시작된 시위가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홍콩 국민들은 송환법으로 인해 지금까지 자신들이 누려온 자유가 침해받지 않을지 두려워하고 있다. 그래서 국제사회는, 그 공개 지지 여부와는 별개로, 이것이 ‘민주화 시위’라는 데 크게 의견을 달리하지 않는다.

최근 진행된 홍콩 구의원 선거에서는 범민주 진영 의원들이 친중파 의원들을 상대로 절반 이상의 의석을 차지하면서 민주화 투쟁에 나선 시위대에 큰 힘을 실어주었다.

중국과 무역전쟁 중인 미국도 홍콩 민주화 운동의 든든한 지원국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7일(현지시간) 매년 조사를 실시해 중국이 홍콩의 일정 수준의 자율권을 인정하지 않을 경우, 홍콩의 특별 지위를 박탈하겠다는 내용이 담긴 홍콩 인권 및 민주주의 법안에 서명했다.

이처럼 홍콩 국민들도, 또 국제사회도 홍콩의 자유와 민주주의에 지지를 보내고 있다.

그런데 지난 5개월여 동안, 세계교회협의회(WCC)는 이 홍콩 시위에 대한 지지 성명을 단 한 건도 내지 않았다. 홍콩 시위에 현지 기독교인들도 상당수 참여하고 있기에 WCC의 이런 행보는 의아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30여년 전 한국의 민주화 과정에서 WCC는 이렇지 않았다. 박경서 교수(대한적십자사 회장)는 자신의 저서에서 “한국의 민주화와 남북통일은 WCC의 우선순위였다. 제네바에서 아시아 국장으로 있던 1987년 6월 민주항쟁 당시, 이래저래 모금을 진행해 15만 달러를 민주화운동 자금에 보탠 것은 신선한 충격으로 기억에 남아있다”고 회고했다.

이렇게 WCC는 민주화와 인권 운동에 앞장섰던 단체다. 그랬던 WCC가 지금 홍콩의 민주화 시위에 대해서는 침묵하고 있는 것이다.

홍콩 시위를 이끌고 있는 데모티스토당 조슈아 웡 이사장은 앞서 낸 성명에서 “홍콩 시민들은 한국의 촛불집회와 5.18 광주민주화 운동, 6월 항쟁 등을 통해 한국인이 민주주의와 인권을 위해 용기를 내서 싸운 역사에 크게 감동했다”면서 “한국인들이 먼저 걸어간 민주화의 길을 홍콩 시민들과 함께 손잡고 가달라”는 바람을 전하기도 했다.

WCC가 부디 30여년 전의 기억을 되살리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