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음표 소녀 앞으로 참고 중복 요청 문제 응답 작업 중요성 기대 질문 정보 우리 아이 왜 이럴까요 이중성 양면성 궁금 김충렬

놀면서 식사하는 아이들이 있다. 식사에 집중하지 못하고 딴짓을 하면서 먹는 아동이다. 이런 아동은 겉으로는 식사에 집중하지 못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이나, 단순한 식습관을 넘어 심리적인 문제를 보이는 것이므로 서둘러 개선해 주어야 한다.

놀면서 식사하는 아동은 식사에 집중하지 않는 아동, 식욕이 적은 아동, 정서가 불안한 아동이라는 특징을 갖는다. 놀면서 식사하는 아동의 심리적 원인에 대해 몇 가지를 생각해 본다.

1. 정서 불안의 상태

놀면서 식사하는 아동은 정서 불안을 드러내는 모습으로 보아야 한다. 아동이 하나의 행동에 집중하지 못하는 것은 내면의 불안이 작용한 결과이기 때문이다.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모습을 드러내는 현상은 아동의 병리적 증상에서 이해된다. 아동이 신경증을 보이거나 공포증을 갖는다면, 음식을 편안하게 골고루 섭취하는 태도를 기대하기 힘들다.

신경이 예민한 아동이나 강박적인 아동은 모두 음식을 섭취하는 습관과 무관하지 않다. 아무런 음식이나 잘 먹는 아동과 음식을 가리는 아동은 그 습관이 다른 것뿐 아니라, 성격도 매우 다른 것이 사실이다.

이는 음식 섭취 태도가 성격을 결정한다는 중요한 예일 것이다.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아동은 음식의 섭취에 호기심을 많이 보이지 않거나 그다지 관심을 드러내지 못한다. 이는 아동의 심리적 저변에 불안이 자리하기 때문에, 음식을 섭취하는 즐거움을 향유하지 못하는 태도로 이어진다.

이런 아동의 심리적 저변에는 불안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채 남아 있을 수 있다. 그 중 하나가 부모가 화목하지 못하고 자주 싸운다든지 하면, 아동은 무의식적으로 불안하여 행동이 적극적이지 못하고 소극적이게 된다.

이런 불안감은 아동의 전반에 간접적으로 작용하여 관심을 가져야 할 일에는 열심히 하지 않고, 중요하지 않은 일에는 열심을 갖는 등의 모습을 보이게 된다. 이런 아동은 자신도 모르게 엉뚱하게 행동하는 경향을 보이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런 불안은 아동으로 하여금 점차로 아동이 자신감을 갖지 못하는 현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심리학적으로 불안 징후를 보이는 아동은 자신을 돌보아주는 사람으로부터 가학적 공격과 함께 버려짐의 느낌과 상실감을 갖는다.

이런 불안이 해결되지 않으면 아동에게는 점차로 세상과 사물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되지 못하여 회피하는 등의 소극적인 모습으로 발전하기도 한다. 아동의 잘못된 행동에는 그런 불안과 연계되어 있다는 점을 쉽게 간과해서는 안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2. 욕구 불만의 상태

놀면서 식사하는 아동은 욕구 불만의 상태라고 보아야 한다. 욕구 불만의 상태가 되면 집중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들은 요구가 자주 거절당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아동은 어린 시기에 요구가 많은데, 이 시기 부모가 어떻게 대응하는가의 문제는 아동의 마음에 쌓이게 마련이기 때문이다. 긍정적으로 대하면 긍정성이 쌓이고, 부정적으로 반응하면 부정성이 쌓일 것이다.

이때 부정적으로 반응하는 경우는 그 어떤 경우라도 아동에게는 부정성이 쌓이게 된다. 물론 아동의 요구를 들어주지 못하는 부모의 경우는 가정형편을 탓하기 쉬울 것이다. 아동의 요구를 들어주고 싶지만 가정의 형편 때문에 거절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런데도 이런 거절은 아동의 무의식에 부정성으로 축적된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깊이 생각하면 가정의 형편의 문제가 아니라, 부모의 대응하는 심리적 문제인 것이다.

이런 경우에 부모는 얼마든지 긍정적으로 아동을 달래서 나중으로 미루거나 이해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응, 그것을 갖고 싶어 하는 하는구나, 그럼 엄마가 사주도록 해주어야 되겠네! 그러면 언제 사주기로 할까? 생일때 사줄까?” 하는 방식이다. 일단 나중으로 미루므로 순간을 회피하는 식으로 대처하여 부정적인 인상을 남기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3. 잠재적 우울증의 상태

놀면서 식사하는 아동은 내면에 잠재적 우울증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아동은 겉으로는 활달한 것처럼 보이지만, 내면에서는 부정적으로 작용하여 집중이 되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런 현상은 내면에는 불안을 기초로 하여 우울감이 자리하기 때문이다. 최근에 놀면서 식사하는 아동의 우울증은 증가추세에 있다. 발달심리학에서 아동기는 과제가 많은 편에 비해서 그것을 감당해야 하는 정신적 에너지는 적은 편이다.

여기에 놀면서 식사하는 아동의 우울증은 성숙한 자기감 또는 충분히 발달된 정체감은 타인의 정체성을 인지하고 수용하는 역량, 그리고 타인을 분리된 자율적인 존재로 인정하는 것, 또한 그 타인과 관계 맺는 능력과 관련되어 있다.

이와 관련해 아동은 존재가 부모에게 수용되기를 바란다. 반면 자신의 존재에 대하여 부정적이거나 수용적이지 않을 때, 즉각 거부반응을 나타낸다. 존재의 가치감은 자신감과 열등감의 문제로 이어진다. 열등감은 대인공포증이나 우울증으로 발전될 수도 있다.

이 시기의 낮은 자존심과 열등감은 아동 우울증의 핵심이기도 한데, 여기에 부모의 거부감과 수용성의 문제가 중요시된다. 거부감과 수용성은 아동기를 특징으로 하는 양면적인 요인이다.

아동은 이유 없는 반항심을 갖거나 사회에 대하여 불만감을 갖는다. 이러한 현상은 그들이 이상향을 꿈꾸는 시기에 비현실적인 사회는 모순으로 가득함을 인지하는데 따른 심리적 반응이라고 할 수 있다.

김충렬
▲김충렬 박사. ⓒ크리스천투데이 DB

4. 정리

놀면서 식사하는 아동을 둔 경우에 해당되는 부모라면, 전술한 원인을 참고해 반성할 필요가 있다. 부모가 올바르게 양육을 해도 반드시 원인이 될 만한 조건이 얽혀 있기 때문이다. 부모가 자기 자신을 냉정하게 분석해야 개선 가능성이 보인다.

김충렬 박사(한국상담치료연구소장, 전 한일장신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