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밖 북조선 8
평양밖 북조선 8
평양밖 북조선 8
평양밖 북조선 8
평양밖 북조선 8
황량한 북녘 마을 한켠에 우뚝 솟은 나무 한 그루가 멀리서도 보였다.

뙈기밭이나 땔감으로 쓰기 위해 나무를 거의 베어낸 북한땅에서는 보기 드물 만큼 우람한 크기였다.

놀라움을 금치 못한 건 나무 아래에서 방아질을 하는 사람들을 보고 나서다. 처음에는 눈으로 보면서도 믿어지지 않았다.

‘방아찧기’라는 말은 국어사전에서 찾아봐야 할 만큼 생소한 단어가 되었다.

“디딜방아는 발로 밟는 쪽이 하나로 되어 있는 외다리방아와 둘로 되어 있는 양다리방아가 있다(국어대사전).”

두 명의 여성이 디딤질을 하고, 또 다른 여성은 연신 곡식을 넣고 거둔다. 한겨울 거름전투를 위해 소달구지에 인분을 실어 나르고, 한쪽에서는 연신 방아를 찧는다.

천진난만하게 들판을 뛰어 다니는 아이들의 때깔 옷이 거름더미에 묻힌다. 21세기 문명과 야만일까.

한가로운 농촌 마을의 아름다운 풍경이라 말한다면, 그들에게 또 다른 죄를 범하는 것이리라.

세상 그 누구도 저리 살아가야 할 이유는 없다. 독재자로 인해 수많은 사람들의 행복이 고통으로 찧어진다.

글·사진 강동완 교수

부산 동아대 교수이다. ‘문화로 여는 통일’이라는 주제로 북한에서의 한류현상, 남북한 문화, 사회통합, 탈북민 정착지원, 북한 미디어 연구에 관심이 많다. 일상생활에서 통일을 찾는 ‘당신이 통일입니다’를 진행중이다. ‘통일 크리에이티브’로 살며 북중 접경지역에서 분단의 사람들을 사진에 담고 있다.

2018년 6월부터 8월까지 북중 접경에서 찍은 999장의 사진을 담은 <평양 밖 북조선>을 펴냈다. 저자는 ‘평양 밖 북한은 과연 어떤 모습일까?’라는 물음을 갖고 국경 지역에서 사진을 찍기 시작했다. 다음은 <평양 밖 북조선>의 머리말 중 일부이다.

평양 밖 북조선
“북한은 평양과 지방으로 나뉜다. 평양에 사는 특별시민이 아니라 북조선에 살고 있는 우리네 사람들을 마주하고 싶었다. 2018년 여름날, 뜨거웠지만 여전히 차가운 분단의 시간들을 기록하고자 했다. 그리하여 999장의 사진에 북중접경 2,000km 북녘 사람들을 오롯이 담았다. ‘사람, 공간, 생활, 이동, 경계, 담음’ 등 총 6장 39개 주제로 사진을 찍고 999장을 엮었다.

2018년 4월 어느 날, 두 사람이 만났다. 한반도의 운명을 바꿀 역사적 만남이라 했다. 만남 이후, 마치 모든 사람들이 이제 한 길로 갈 것처럼 여겨졌다. 세상의 외딴 섬으로 남아 있던 평양으로 사람들이 하나둘 오가기 시작한다. 하지만 그 발걸음은 더디며, 여전히 그들만의 세상이다. 독재자라는 사실은 변함없고 사람이 사람답게 살지 못하는 거대한 감옥이다.

북중접경 2,000km를 달리고 또 걸었다. 갈 수 없는 땅, 가서는 안 되는 땅이기에 압록강과 두만강 건너 눈앞에 허락된 사람들만 겨우 담아냈다. 가까이 다가설 수 없으니 망원렌즈를 통해서 조금이라도 더 당겨서 보고 싶었다. 0.01초 셔터를 누르는 찰나의 순간 속에 분단의 오랜 상처를 담고자 했다.

대포 마냥 투박하게 생긴 900밀리 망원렌즈에 우리네 사람들이 안겨왔다. 하지만 거기까지였다. 허락되지 않은 공간에서 망원렌즈로 찍는 것도 분명 한계가 있었다. 렌즈의 초점을 아무리 당겨보아도 멀리 떨어진 사람은 그저 한 점에 불과했다.

사진은 또 다른 폭력적 무기가 될 수도 있다는 말을 들은 터라, 무엇을 어떻게 담아야 할지 고민스러웠다. 시야에 들어오는 북녘의 모습을 가감 없이 전하고 싶었다.

셔터를 누르는 사람의 의도로 편집된 모습이 아니라, 눈에 보이는 그대로 담고자 했을 뿐이다. 새벽부터 해질 때까지 손가락은 카메라 셔터 위에 있었고, 눈동자는 오직 북녘만을 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