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한국기독교역사학회 정기 학술심포지엄
2018년 한국기독교역사학회 정기 학술심포지엄

2018년 한국기독교역사학회 정기 학술심포지엄(한국기독교역사학회, (사)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서울YMCA 공동주관)이 3일 오후 서울 YMCA 친교실에서 '3.1독립운동의 지역적 전개와 기독교'를 주제로 개최됐다.

기조 강연을 맡은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의 김승태 소장은 기독교의 3.1운동 참여 동기, 선교사 등의 역할과 수난, 한계에 대해 발제했다.

먼저 김승태 소장은 "여러 한국교회에서 3월 1일 전 주일을 3.1절 기념주일로 지켜올 정도로 3.1운동은 한국교회에서도 역사적 사건"이라며 "한국 기독교인은 이 운동에 신앙적 결단으로 자발적, 적극적으로 참여해 주동자로 나서고 지도력을 제공했으며, 운동 확산의 조직을 제공하고, 통로가 되어 큰 기여를 했다. 그리고 그만큼 일제의 탄압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고 했다.

이어 "모세와 에스더, 바울 등 성경 속 위대한 신앙인들도 애국애족자들이었다. 모세는 이스라엘 백성이 범죄하여 하나님께서 그들을 멸하려 했을 때 그들을 용서하지 않으면 차라리 자기 이름을 생명책에서 지워달라고까지 했다"고 강조했고, "기독교인들이 현실에 참여하는 것은 신앙적 행위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기독교인들이 그 시대의 역사적 과제 해결에 무관심하거나 회피하는 것은 신앙인의 올바른 태도가 아니"라고 말했다.

3.1운동 참여 이유에 대해 김 소장은 '나는 하나님을 믿는 사람이다. 하나님이 인류를 내실 때 각각 자유를 주었는데 우리는 이 존귀한 자유를 남에게 빼앗겼다' 등 3.1운동에 참여했던 민족 대표 이승훈 장로, 신석구 목사의 자서전 등을 언급하며 "정신구조적으로 민족적 양심에 영향받은 측면과 종교적 신앙심에 영향받은 측면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3.1운동에 기독교인들이 참여한 역할과 영향에 대해 "기독교는 3.1운동의 초기 조직화 단계의 7개 계열 중 6개 계열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였고, 최초의 독립선언이라할 수 있는 2.8학생독립선언을 후원했다"며 "민중운동화단계에서도 전국교회의 조직과 지도자를 제공하였으며 3.1독립선언의 이념도 기독교에 영향 받은 바가 컸다"고 전했다.

기조 발제 중인 김승태 소장.
기조 발제 중인 김승태 소장.

또 기독교인만의 독특한 3.1운동 방법에 대해 "억압자 일본인에 대한 적대와 폭력을 자제하고, 기도와 금식으로 하나님께 의지함으로써 일본에 대한 도덕적 우위를 유지하여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독립할 것에 대한 희망을 잃지 말자는 것"과 "(요일별) 말씀과 기도를 통한 3.1운동 참여는 기독교인의 독특한 것으로, 고난 중에서도 소망을 잃지 않고 기독교인들이 3.1운동에 지속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동력이 되었을 것"이라고 소개했다.

3.1운동에 참여함으로 인해 받은 피해에 대해서는 "기독교는 평신도들을 포함해 목사, 장로, 전도사, 교사 등 교역자까지도 3.1운동을 주동하고 참여함으로 일제의 주목을 받았고, 핍박과 피해도 매우 컸다. 일제 헌병대가 조사한 1919년 말까지 3.1운동 관계 피검자 종교별 상황에 따르면, 종교인 가운데 기독교인이 가장 많아 3,426명으로 비종교인까지 포함한 총 피검자 19,525명의 17.6%를 차지하고 있다"고 했다.

선교사들의 역할에 대해서는 '3.1운동과 일제의 탄압에 대한 실상을 외부에 알려 국제 여론을 조성한 것'과 '한국인들의 독립요구의 정당성에 공감하고, 피해자들을 적극 치료하고 위로하고 보호한 것', '일제 시정을 한국의 자유와 권익을 확대하도록 개선하도록 압력을 가한 것', '목격한 것을 역사적 기록으로 남겨 전수한 것'을 꼽았고, 한계에 대해선 '보호가 목적이긴 했지만 만세 시위 가담을 말린 것', '독립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것으로 보고 시정 개선이나 한국인의 참정, 자치정도를 이상으로 본 것', '계속적 선교활동을 위해 정교분리 원칙을 내세우며 일제에 적극 항거하지 못한 점'을 꼽았다.

끝으로 김 소장은 "3.1운동을 계획하고 적극 참여한 것은 권익 신장이나 권력의 헤게모니를 잡고자 한 것이 아니었다. 그야말로 순수하게 민족을 위해 선두에 서서 자신을 희생하고 일제에 항거했던 것"이라며 "지금의 한국교회와 당시의 신앙은 첫째로 개인화되지 않고 공공성을 띄었던 것이 다르고, 복음과 정의를 위한 고난에 동참하는 것을 진정한 축복으로 여긴 것이 다르다"고 평했다.

그러면서 "역사적 맥락에서 볼 때 기독교인의 현실, 역사 참여는 정치적 문제만이 아니라 신앙적 결단, 하나님 역사 앞에서 이웃에 대한 책임의 문제"라며 "한국교회는 올바른 3.1운동의 인식을 통해 그 정신을 계승 발전시켜 역사적 과제와 발전에 앞장서 기여해야할 것"이라고 했다.

이후 송현강(한남대), 황미숙(목원대), 송정연(연세대), 이용민(연세대) 교수가 각각 서울, 경기, 충청, 호남(제주), 영남 각각의 지역과 기독교의 3.1운동에 대해 발표했다.

한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는 2019년 3.1운동 100주년을 기념하며 3.1운동 100주년 기념 자료집 '3.1독립운동과 기독교'과 기념 논문집 발간과 일반인을 위한 교양서적 '기독교인 민족대표 16인 열전' 간행을 준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