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지우는 두통
오랫동안 고민했던 문제가 한순간에 해결이 되면 뭔가 통쾌한 기분이 느껴진다. 그동안 왜 이리 걱정했을까 하는 아쉬움도 남겠지만 기어이 문제를 해결했다는 만족감이 훨씬 클 것이다. 어쩌면 오래 앓았던 두통이 나아졌을 때 느껴지는 기분이 이 ‘통쾌함’과 비슷하지 않을까? 그 기분을 만끽하기 위해서는 우선 두통의 원인이 무엇인지부터 제대로 살펴야 할 것이다.

열이 나면서 욱신거리고, 바늘로 콕콕 쑤시는 것 같은 통증이 느껴지는가 하면 어지럽고 멍한 기분이 드는 등 두통을 표현하는 말들은 다양하다. 큰 괴로움을 안겨주는 만큼 그에 따른 대처에도 적극적일 것 같지만 사실 두통이 발생했을 때 우리가 하는 대개의 대처란 약간의 휴식과 두통약 복용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다.

서초 교대역 풀과나무한의원 김제영 원장은 "두통약을 포함한 모든 약은 어느 정도의 부작용을 가지고 있다. 때문에 통증이 잦다고 복용을 습관화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어 “물론 두통약 복용 자체를 문제 삼으려는 것은 아니다. 두통약으로 쓰이는 진통제는 두통의 급성기 기간에 통증을 제거하기 위해 쓰였을 때는 효과적이다. 초반에는 통증이 조절되는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잦은 두통에 의해 매일 두통을 호소하는 환자가 그때마다 많은 양의 진통제를 복용한다면 진통제 부작용과 통증이 더 심해지는 악순환이 반복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특히 진통제는 위장에 부담을 줄 가능성이 높다. 장기간 복용 시 위염이나 위궤양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더불어 복용함에 따라 점차 환자가 체감할 수 있는 통증 완화 효과는 줄어들게 된다는 것도 무분별한 두통약 복용에 제동을 걸어야 하는 이유다.

물론 환자들이 두통약에 의존하는 이유가 단순히 간편해서만은 아니다. mri, ct 검사 등을 통해 두통의 원인을 찾아보려 했음에도 별다른 이상이 없다는 소견을 듣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원인은 찾지 못했고 그럼에도 통증은 지속되니 진통제 복용을 멈추지 못하는 것이다. 이때는 다른 관점에서 두통의 원인을 살피는 것이 좋은데, 한의학에서는 '어혈'에서 그 이유를 찾고 있다.

어혈은 쓸모없게 된, 생리적인 기능을 잃어버려 못쓰게 된 찌꺼기 혈액을 말한다. 피로, 간장의 열이나 대장의 독소, 위장장애와 같은 장부의 기능 저하 등 여러 요인의 의해 발생한다. 혈관 내 응어리진 어혈은 뇌 혈액순환을 방해하면서 충분한 산소와 영양소의 공급을 방해하기에 이른다. 그 결과 두통 증상은 물론 어지럼증, 구토, 메스꺼움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어혈을 제거하는 것은 배수구의 찌꺼기를 청소하는 것과 같다. 머릿속 혈관에 쌓인 탁한 피를 제거해야 하는 것이다. 풀과나무한의원 측에 따르면 뇌청혈해독탕의 경우 탁한 혈액을 배출시키고 혈액순환을 개선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어혈 제거와 위 기능 문제, 간장의 열, 대장의 독소, 신장의 무력 등 장부의 기능을 회복하고 면역력 강화에 도움을 준다는 설명이다.

순수한약재 성분으로 환자의 상태에 따라 맞춤 처방돼야만 약을 복용하는 것만으로 두통치료, 어지럼증치료가 가능하다는 것. 또한 뇌청혈해독탕은 편두통, 긴장성두통, 군발두통, 소화불량두통 등 다양한 유형의 두통 치료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한다.

여기에 뇌 혈액순환 장애로 비정상적으로 높아진 뇌압을 침을 통해 정상으로 낮추는 뇌압조절법, 약과 침의 효과를 동시에 적용시켜 좀 더 빠른 통증 개선이 가능한 약침요법, 전신 경락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혈액순환을 좋게 하는 경락이완요법을 병행하면 좀 더 효과적인 두통, 어지럼증 치료가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김 원장은 “두통은 익숙하고 흔하다. 그러나 익숙하다는 말을 잘 안다는 말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어선 안 된다. 사실 그 속을 제대로 모르고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런 안이함을 틈타 두통은 자신의 세력을 키우고, 어느 순간 본격적으로 일상을 좀먹기 시작한다. 소중한 하루에 두통에 무너지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와 관심, 그리고 적극적인 대처 잊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해당 한의원은 서울, 인천, 대구 세 개의 네트워크로 운영되고 있다. 아울러 두통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치료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환자마다 증상 및 장애 정도가 다양하기 때문이다. 관련의 와의 구체적인 상담도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