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음표 소녀 앞으로 참고 중복 요청 문제 응답 작업 중요성 기대 질문 정보 우리 아이 왜 이럴까요 이중성 양면성 궁금 김충렬
튀는 행동을 하는 아동이 있다. 이상한 행동을 하면서 누군가의 눈에 들고 싶고 관심을 끌고 싶은 아동이다. 그래서 평범하게 행동하지 않고 조금 튀려고 한다. 튀는 행동을 하는 아동은 무슨 메시지를 보내고 있는데, 나를 보아 달라는 것이고 나를 도와달라는 것이다.

튀는 행동을 하는 아동은 다른 사람들의 시선과 관심을 끌고 싶다. 자신의 행동으로 다른 사람들의 시선을 자기에게로 끌어 더욱 관심을 받고 싶다. 튀는 행동을 하는 아동은 이상한 행동을 하는 아동, 주변의 관심을 모으려는 아동, 그리고 사회성이 문제되는 아동이라는 특징을 갖는다. 튀는 행동을 하는 아동의 심리적 원인에 대해 다음 몇 가지를 생각해 보자.

1. 아동기의 자아감 형성 문제

발달심리학에서 아동기는 자아감이 형성되는 시기로 간주된다. 이 아동기에는 자아가 이뤄져 어느 정도 자율성이 확보된다는 점에서다. 이런 것과 달리 튀는 행동을 하는 아동은 아동기에도 성장의 문제를 노출한다. 생각이 건전하지 못하든가 행동에 일관성이 없이 왔다 갔다 하는 등의 문제를 노출하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일찍이 “반드시 그래야만 한다” 등 규칙이나 질서에 훈련되지 않아서 환경이 그들에게 타율성이 발휘되는 것이다. 물론 자기 마음대로 하는 행동에서는 상당히 특정한 만큼의 자율성을 구사할 수 있다. 이들은 대개 후기 아동기를 지나면서 주도적 행동, 자율성 표현, 그리고 독립적인 자기상의 형성이 주요 발달과제로 부각된다.

다만 부모의 과잉 통제 아래에서 자라난 아동은 전술한 과정들이 경색되고 만다. 그리하여 이들은 독립적으로 생각하는 능력을 획득하는데 실패하고, 관습적이며 보통의 성인(成人)이 지니는 보수적 사고방식을 따르도록 강요받는다. 이들의 발달 과업은 성인기를 향해 억지로 가속화되고, 적절하고 예의바른 태도를 지키도록 강요받는 것이다.

2. 부정적 자아 개념 문제

튀는 행동을 하는 아동은 부정적 자아 개념을 갖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부정적 자아 개념은 자신이 더 나은 존재로 인정받고자 하는 보상적 행동을 유발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그것이 튀는 행동 즉 이상한 행동인데, 이는 관심을 끌려는 마음이라고 해야 한다.

이런 마음을 가진 아동이라면 누군가로부터 소외되어 있다는 심리적 상태를 나타낸다. 자신에게 관심을 끌려면 이상한 행동을 해야 한다. 다만 이들의 행동은 매우 의도적이지는 않기에, 자신도 모르게 그렇게 이상한 행동을 하는 것이다.

관심을 끌려는 아동은 대개 형제들이 여럿인 경우에도 많지만, 혼자인 경우에도 있다. 일찍부터 자신의 모습을 인정받고 싶은데 아직은 그 방법을 모르기에 갈등하는 모습일 수도 있다.

이 부정적 자아 개념은 그 반대 측면인 긍정적인 자아 개념을 비교하면 이해가 쉽다. 긍정적인 자아 개념을 가진 아동은 자신이 지각한 자신의 특성에 긍정적인 가치를 주며, 자신의 성공과 실패에 대하여 스스로 책임 질 줄 알고, 자신의 부모나 타인과도 적극적 관계를 맺기 때문이다.

3. 정서적인 반응 문제

튀는 행동을 하는 아동의 심리발달은 부모의 양육방식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자신이 반응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런 경향은 아동에게 부모의 구체적인 훈육 방식뿐 아니라, 정서적 반응에 의해서도 결정됨을 의미한다.

아이들이 여럿인 경우, 좀처럼 부모의 관심이나 인정을 받기 어렵다. 대단히 분주한 가정이나, 많은 형제 중의 중간쯤이어서 제대로 집에서 대접을 못 받는 경우이거나, 동생이 태어나 갑자기 언니(혹은 오빠) 취급을 받을 때 등은 가정 생활에서라도 눈에 뜨이는 행동을 취해 주목을 끌고자 하는 것이다.

그만큼 아이들의 마음이란 자기중심적이며 자기 존재를 인정받고 싶어 한다. 이런 아동에게는 깜빡 놀라게 하는 행동이 주목받는 자체가 된다고 생각하기에, 그 행위를 억제하는 것만으로 근본적 해결을 바랄 수 없다. 이는 부모 자신이 성장기 동안 해결되지 못한 감정을 가지고 자녀를 대한다면, 아무리 기술적으로 훌륭한 부모교육이라도 지속적 효과를 나타내지 못할 것이다.

김충렬
▲김충렬 박사. ⓒ크리스천투데이 DB
4. 정리

튀는 행동을 하는 아동을 둔 경우에 해당되는 부모라면 전술한 심리적 원인을 참고해 자신에 대해 반성할 필요가 있다. 부모가 올바르게 양육한다 생각해도, 거기에는 반드시 원인이 될 만한 조건이 얽혀 있기 때문이다. 부모가 자신을 냉정하게 분석해야 개선 가능성이 보이는 법이다.

김충렬 박사(한국상담치료연구소장, 전 한일장신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