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회 북한인권자유통일주간
▲통일부 앞에서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 ⓒ주최 측 제공
6·25 전쟁 68주기를 즈음해 '제4회 북한인권자유통일주간' 행사를 개최하는 시민단체들이 첫날 행사로 25일 오후 2시 통일부가 위치한 서울 광화문 정부종합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김규호 목사(선민네트워크 대표)는 "6·25 전쟁 68주기를 맞이하는 오늘, 제4회 북한인권자유통일주간을 개최하게 돼 참으로 뜻깊다. 6·25 전쟁 이후 남한은 경제발전과 민주화를 동시에 이뤄냈지만, 북한은 여전히 전쟁의 상처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아직도 굶주리고 3대세습 독재 아래 신음하고 있다"며 "어서 속히 북한에도 자유와 인권의 바람이 불어, 진정으로 정상적인 국가가 되었으면 한다"고 밝혔다.

김 목사는 "이번 남북 정상회담, 북미 정상회담을 통해 북한이 경제발전과 민주화를 이루는 나라로 변했으면 좋겠다"며 "그래서 자유와 인권에 기초한 자유통일이 속히 오길 간절히 소망한다"고 덧붙였다.

연대발언에 나선 문국환 대표(북한인권국제연대)는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에 억류된 3명의 한국계 미국인을 집으로 데려왔고, 200여구의 미군 전사자 유해를 돌려받기 위해 절차를 진행 중"이라며 "그런데 대한민국 문재인 대통령은 아무것도 하지 않고 있다. 정부는 북한에 억류된 6명의 대한민국 국민이 속히 집으로 돌아오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성토했다.

문 대표는 "6·25 납북자를 비롯한 모든 납북자들의 생사 확인과 유해 송환을 강력하게 추진해야 한다"며 "이를 북한 김정은 위원장에게 강력하게 요구해야 한다. 김정은의 눈치만 살피는 나약한 대통령이 돼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김영일 목사(선한이웃 대표)는 "6·25 전쟁이 끝난지 70년이 다가오지만, 아직도 6·25의 상처는 우리들 가슴에 남아있다"며 "특히 6·25 전쟁 중 북한에 의해 납치당한 10만여명의 납북자들의 생사 확인과 유해 송환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김 목사는 "지난 70여년 동안 납북자 가족들은 부모와 형제를 잃은 슬픔으로 고통의 기나긴 세월을 보내야 했다. 더욱이 연좌제로 제대로 된 직장을 가질 수도 없었고, 늘 경찰의 감시 아래 살아야 했다"며 "국회에서 6·25 납북자 피해보상법이 속히 제정돼야 하고, 정부도 이들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후 김기용 회장(6.25납북결정자가족회)이 '문재인 대통령께 드리는 호소문'을 낭독했으며, 6·25 68주기를 기념하는 6.8미터의 태극기에 6·25 납북자들의 이름을 적는 '6·25 납북자 이름쓰기' 퍼포먼스가 진행됐다.

호소문에서는 "정상회담으로 한반도에 평화 무드가 조성되고 북한에 억류된 한국계 미국인 3인 석방과 미군 전사자 유해 송환 등 감격적인 일들이 일어나고 있으나, 북한에 억류된 6명의 대한민국 국민의 석방이나 국군포로, 납북자들의 생사 확인과 유해 송환 등은 아무런 진척이 없다는 것"이라며 "6·25 전쟁 중 납북당한 부모형제의 생사 확인과 유해 송환을 간절히 소망하는 저희로서는 아무런 소식도 없음에 큰 실망을 감출 수 없다. 대통령님께서 북한 김정은 위원장에게 납북자 생사 확인과 유해 송환을 강력히 요청해 달라"고 말했다.

또 "여행을 가다 변을 당한 세월호 학생들에게도 국가가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수억 원의 보상을 했음에도, 6·25 전쟁 시기 충분히 피난을 갈 수 있었지만 국회의원, 공무원, 교수 등 사회 지도층으로서 맡은 일을 묵묵히 수행하기 위해 남아있다 납북당해 목숨을 잃은 고귀한 사람들을 국가가 외면하는 것은 형평성 차원에서도 맞지 않고 정의롭지도 못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같은 납북자인 6·25 전쟁 이후 납북된 '전후 납북자'들에게는 수천만원의 보상이 주어졌는데, 전쟁 중 납북된 사람들에게는 한 푼도 보상하지 않는다는 것은 정말 잘못된 일"이라며 "이제 2020년이면 전쟁 70주년을 맞는다. 고통스러웠던 과거의 역사를 올바르게 정리하고, 전쟁의 상처와 아픔이 계속 방치되도록 해서는 안 된다"고 주문했다.

김규호 목사, 김기용 회장 등 단체 대표들은 기자회견 후 호소문과 태극기를 문재인 대통령에게 전달하고자 청와대를 방문했다. 그러나 청와대 측은 "물품 접수는 허용하지 않는다"는 내부 방침 때문에 대형 태극기 대신 호소문만 제출했다고 한다.

이들은 2일차 26일 오후 2시 '제3회 북한순교자 및 북한인권희생자 추모식'을 서울 신설동 북한순교자 및 북한인권희생자기념관에서 진행했다.

27일 오후 2시에는 서울 명동 중국대사관 앞에서 '제423차 탈북난민북송중지 수요집회'를 갖고, 28일에는 '제24차 6.25 납북피해자보상법 제정촉구 목요집회'를 오후 2시 서울 광화문 통일부 앞에서, '제11차 북한억류자 석방 및 납북자 생사확인과 유해송환 촉구 집회'를 오후 2시 30분 같은 장소에서 각각 갖는다.

마지막 날인 29일 오후 1시 30분에는 '북한인권개선 및 북한인권재단 출범촉구 집회'를 서울 국회의사당 정문 앞에서, 그리고 오후 7시 서울시청 맞은편 덕수궁 대한문 앞에서는 '자유통일기원 거리음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선민네트워크와 북한정의연대 등 46개 시민단체들은 호국보훈의 달과 6·25 전쟁 68주기를 기념해, 북한 동포들의 고난에 동참하고 북한인권 개선 및 북한인권재단 출범촉구, 북한 억류자 석방, 탈북 난민 북송중지, 납북자 생사확인 및 유해송환, 6·25 납북피해자 보상지원법 제정촉구, 자유통일기원, 북한순교자 및 북한인권 희생자 추모 등 북한인권 개선과 자유통일을 기원하고자 '북한인권자유통일주간'을 기획했다.

주최 측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장 인권상황이 열악한 곳이 북한이다. 3대 세습으로 인한 잔혹한 독재체제는 300만명 이상의 주민들을 굶어 죽게 만들었고, 체제에 순응하지 않는 사람들을 정치범수용소로 보내어 고문과 구타, 공개총살 등의 탄압하고 있다"며 "한반도 평화무드가 조성되면서 민족의 최대의 과제인 통일 문제가 한 걸음 더 우리에게 다가왔으나, 자유 없는 통일은 무의미하다. 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에 기초한 평화적 자유통일이 되면 북한인권 문제 또한 자연스럽게 해결될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먼저 북한 동포들의 자유와 인권의 보장을 이뤄내고, 그 바탕 위에 자유통일을 이룩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