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일웅
▲정일웅 박사
1735년 다비드 니취만이 그의 형제와 가족으로 구성된 선교단체를 이끌고 북미지역으로 항해할 때, 후에 감리교회의 창설자인 요한 웨슬레이(John Wesley)가 그 배에 함께 타고 있었으며, 그들 모라비아형제들의 신앙의 영향을 크게 받게 되었던 것으로 전한다. 웨슬레이는 모라비안 형제들이 항해 동안에 바다 폭풍이 몰아치는 가운데서도 믿음의 용기와 겸손함을 견지하고 있는 그들 신앙태도에 큰 감동을 받았다는 것은 잘 알려진 일이다. 그 일로 웨슬레이는 이들 모리비안 형제들과 계속 교제하였고, 영국으로 돌아온 후에도 형제교회와 연결하여 그들에게서 많은 것을 배우게 되었으며, 역시 독일의 헤른후트 형재교회를 방문하였던 것이다. 1738년의 그의 회심은 이러한 영향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웨슬레이가 영국에서 일으켰던 신앙부흥운동은 처음부터 모리비아 인들에게서 받은 영향이 미쳤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웨슬레이는 이러한 모리비아 형제들에게 힘입고 있었던 점을 결코 잊지 않았으며, 감리교도들은 여러 가지 점에서 헤른후터의 방식에 큰 영향을 받았던 것이 분명한 것으로 판단된다.

헤른후터(Herrnhutter)의 형제공동체는 주로 독일경건주의 반열에 합류하여 성장하였고, 1870년에 북서보헤미아(Nordwestboehmen)에서 몇 개의 지(支)교회들과 새로운 체코의 지 교회를 세울 수가 있게 된다. 이주자들의 다수는 역시 보헤미아의 출신들로 독일의 주(州)교회(Landeskirche)에 연결되었다. 보헤미아-모라비아로부터 이주해 온 많은 사람들이 헤른후트에서 그리 멀지 않은 헨너스마을(Gross-Hennersdorf)과 게어락스하임(Gerlachsheim)으로 옮겼고, 후에 큰 무리가 1733과 1734년에 베르린으로 이주하였거나, 가까운 이웃도시였던 릭스도르프(Rixdorf)로 옮겨가 거주하게 되었다. 릭스도르프(Rixdorf)는 베르린 남부 지역인 노이쾰른 지역에 있는 자그마한 도시로 오늘날도 200가정 이상의 형제연합교회의 후손들이 살고 있으며, 1992년 코메니우스탄생 400주년의 해에 베르린 시가 그 지역에 코메니우스를 기념하는 동산'(코메니우스 가르텐)Comenius Garten)을 세우도록 땅을 기증하였고, 코메니우스기념관과 동상이 지금 그 곳에 세워져 있기도 하다. 그리고 이러한 긴 역사로 연결된 디아스포라의 환경에서도 형제연합교회의 전통은 어떤 요소들은 반종교개혁적인 가톨릭주의를 더 강하게 기억했던 루터적인 것에서보다 칼빈주의적인 개혁교회의 형태에 더 가깝게 머물러 있는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1781년 10월 13일은 새로운 변화가 시작된 시기였다. 보헤미아를 통치하던 요셉 2세의 황제는 마침내 합스부르그 군주국 전 지역의 비 가톨릭교도들에게 종교의 자유를 선언하는 관용의 칙령(Tolerance patent)을 발표하게 된다. 이것은 실제로 30년 종교전쟁이 시작되었던 이래로 약 160년간의 극심한 종교박해의 암흑시대를 마감하는 일이었고, 마침내 보헤미아-모라비아지역의 모든 프로테스탄트들에게 종교의 자유가 허락되는 선언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그들 형제연합교회의 조상들이 사용했던 신앙고백은 여전히 금지되었으며, 다만 루터의 아욱스부르그 신앙고백과 스위스 개혁교회의 신앙고백 두 가지 밖에는 허용되지 않았던 것이다. 역시 후스파와 형제연합교회의 후예들은 여전히 크게 실망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상황에 적응하지 않을 수가 없었기에 대체로 루터의 것보다는 스위스개혁교회의 신조를 따르는 방향에서 종교자유를 보장받게 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 당시 체코 전역에는 약 80000여명의 프로테탄트 신도들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며, 루터의 신앙고백을 따르는 19000명, 스위스개혁교회의 신앙고백을 따르는 수가 59000명 모두 78000명의 체코의 프로테스탄트 신자가 정식으로 등록되었던 것이다. 1787년에는 76개의 지역교회가 설립되었고, 53개의 교회학교가 또한 존재하게 되었다.

1861년에 이르러 역시 프란띠쉑 황제 요셉1세는 보헤미아(체코)프로테스탄트 신도를 위한 칙령을 발표하게 되는데, 그것은 로마가톨릭교회의 신자들과 동등한 권리를 갖도록 하는 명시 공히 종교자유의 선언이었던 것이다. 이러한 칙령에 따라 체코의 민족의식은 고조되었고, 후스파와 형제연합교회의 전통은 회복되는 게기가 되었다. 그리고 이것은 역시 1918년에 10월 28일에 '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의 설립으로 종교의 자유가 모든 사람들에게 보장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이 때 신앙고백의 선택에 따라 2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진 체코의 프로테스탄트는 루터파와 개혁교회였는데, 이제 체코의 종교개혁전통을 토대로 하여 하나의 연합된 개혁교회(형제연합교회중심)가 탄생하는 게기가 될 수 있었다. 그리고 그러한 일이 1918년 12월에 프라하에서 체코의 개혁교회가 총회를 개최하면서 이루어졌다. 당시에 개혁교회에 속한 신도수는 126000명이었고, 루터교회는 34000명이었다. 체코의 프로테스탄트전통인, 형제연합교회의 중심으로 '보헤미아 개신교형제교회'(Evangelische Boehmische Bruederkirche)의 명칭을 사용하였다. 연합된 교회의 상징인 '로고'는 역시 성경위에 놓여 있는 성배(성찬의 잔)의 그림 깃발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1차 세계대전이 끝난 이후에 체코국민은 대거 로마가톨릭교회를 탈퇴하는 일이 발생하였고, 약 18%에 달하는 국민, 100000명이 보헤미아의 개신교형제교회에 가입하여 총 250000명의 신자를 가진 큰 교회를 형성하게 되었다. 1919년 목회자 양성을 위하여 프라하에 '후스개신교신학부'가 설립되었다. 그러다가 다시 1953년에 이르러 다시 '코메니우스개신교 신학부'로 명칭을 변경하게 된다. 그러나 후스개신교신학부를 고수하는 이들에 의하여 지난 90년대까지 계속되다가 '개신교신학부'(Die Fakultaet der Protes- tantischen Theologie)로 다시 개명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체코슬로바키아는 2차 세계대전 이후에 구소련의 공산주의사상의 지배로 동구의 나라들과 함께 공산권에 속하여 있었다. 그 때문에 '보헤미아개신교형제교회'(Evangelische Boeh- mische Bruederkirche)는 공산주의자들에 의하여 종교의 자유가 다시 억압받는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전제주의적인 사회주의 사상의 통치하에서 보헤미아의 개신교형제교회는 교회의 정체성을 위한 투쟁을 계속하였다. 그러나 80년대 중반부터 영향을 미쳤던 소비에트연방의 통치자 고르바초프의 개혁개방의 정책으로 인하여, 1989년 11월 소위 민주화를 요구하는 벨벹혁명이 일어나게 되었고, 1948년 공산당이 점령한 후, 약 41년 만에 절대 권력을 휘두르던 공산당 정권은 무너지고, 자유민주주의 정부체제를 가진 체코슬로바키아공화국으로 탄생하게 되었다. 물론 1992년 체코와 슬로바키아는 한나라로 있었으나, 이 때, 평화스럽게 양국가로 독립하게 되었으며, 교회 또한 국가에 따라 평화스럽게 각각의 개신교회로 거듭나게 되었다. 물론 체코와 슬로바키아의 개신교회는 그들 교회의 신앙의 선조인 코메니우스를 존경하는 인물임을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코메니우스의 교육정신을 기리기 위하여 프라하에 국립 코메니우스교육박물관이 오래전에 설립되어 있으며, 또한 코메니우스개신교신학부가 프라하에 설립되어 있다가 지난 2000년대에 이르면서, 먼저 설립된 개신교후스신학부와 합병하여 개신교신학부로 명칭변경을 한 것으로 전한다. 하지만 여전히 그 학부에서 코메니우스의 교육신학은 강의되고 있다. 또한 코메니우스의 역사적인 유산의 보호와 발전을 위하여 그의 고향인 우헤르스키-브로드(Uhersky-Brod)에는 코메니우스 기념박물관이 설립되어 그의 교육과 신학의 정신을 후손들에게 전하고 있다. 그리고 슬로바키아공화국의 수도인 브라티스라바(Bratislava)에는 1919년에 설립된 종합대학인 '국립코메니우스대학'이 있다. 공산권 통치기간에 이 대학의 이름을 '레닌대학'으로 개명하였으나, 코메니우스의 학문을 이해한 공산당은 다시 코메니우스이름 사용을 허락하였으며, 오늘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한다. 그리고 이러한 코메니우스의 영향은 오늘날 유엔 산하에 있는 '유네스코'(UNESCO)라는 국제기구의 탄생에도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 기구는 세계적인 전 인류의 교육과 과학과 문화의 유산에 대한 가치를 중요하여 여겼던 코메니우스의 정신으로 토대로 하여 설립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모든 결과들은 여전히 오늘날도 코메니우스와 형제연합교회의 프로테스탄트의 신앙정신의 유산이 어떻게 후대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확인시켜 주는 귀중한 모습이라 할 것이다.

우리는 코메니우스의 교육신학사상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보헤미아-모리비아형제연합교회의 긴 역사를 살펴보았다. 중요한 것은 코메니우스의 교육과 신학의 근본정신이 그가 속했던 보헤미아-모라비의 형제연합교회의 신앙정신을 그대로 계승하고 있다는 점의 확인 때문이었다. 즉 하나님의 말씀으로서 성경의 진리를 사랑하는 것, 그 진리의 말씀대로 순종하며, 이웃을 내 몸처럼 사랑했던 그 선조들의 개혁신앙의 정신을 그대로 본받아 실천하였던 그것이었다. 그러한 진리에 대한 확신은 신앙의 자유를 보장받지 못한 정치적인 위협상황과 개인 실존의 비극적인 상황에서도 굴하거나 좌절하지 아니하고, 오직 그리스도를 향한 신앙의 인내와 섭리에 응답하며, 전 인류를 향한 신적 계시의 증언자로서의 삶을 살게 된 것은 그 근본토대가 형제연합교회 신앙의 영향을 본답고 있는 점이라 할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전 인류의 구원과 함께 창조세계 전체의 구원을 꿈꾸고 있는 그의 신적계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는 오늘 이 시대의 현대신학적인 통찰을 능가하고 있는 모습이며, 특히 범지혜의 계시철학에 근거하여 전 세계인의 전인구원과 전인교육을 제창한 그의 교육신학적인 통찰은 우리 모두 배워야 학문적인 통찰임에 분명하다. 또한 청조세계전체를 꿰뚫고 있는 그의 신학적인 통찰은 구체적으로는 그리스도 안에서의 변화에서 시작하여, 전 세계를 그리스도의 통치실현의 현장으로 바꾸어야 하는 세계개혁의 통찰로 발전하게 되었는데, 그 모든 것들은 바로 보헤미아-모라비아형제연합교회의 신앙정신에 근거하면서, 벌써 그 시대의 한계를 뛰어 넘고 있는 코메니우스의 탁월한 사고능력의 발전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런 점에서 코메니우스의 교육신학사상은 오늘 이 시대에도 여전히 연구의 대상이며, 우리의 관심의 대상이라 하지 않을 수 없는 일이라 할 것이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