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천투데이는 [교회로 돌아온 신학]을 제목으로 연중기획을 마련했습니다. 신학이 사변화되고, 교회나 신앙과 동떨어져 따로 존재한다는 현실 인식이 이번 기획을 추진한 배경입니다. 본지는 한국교회 신학의 다양한 면을 살펴, 보다 쉽고 실제적인 신학의 길을 모색할 것입니다. -편집자 주

교인들은 신앙을 위한 신학에 목말라 있다

▲신학은 정말 어렵고 딱딱하기만 한 것일까. ⓒ크리스천투데이 DB
“심지어 어떤 교인은 신학이 신앙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신학책을 읽었더니 오히려 신앙의 열기가 식었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하지만 신학을 일부 전문인들을 위한 것이거나, 실제 신앙생활과 연관이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신학에 대해 조금은 오해를 하고 있는 것입니다.……(중략)……기독교인은 누구나 기본적으로 신학을 해야 합니다. 사실은 모든 기독교인이 신학자가 되어야 합니다. 신학자라는 표현에 부담을 가지거나 거창하게 생각할 것은 없습니다. 신학자는 자신의 신앙과 삶이 분리되지 않고 살아가는 사람입니다. 자신의 삶에서 신앙적인 의미를 찾는 사람이 신학자입니다.”

영남신학대학교에서 조직신학을 가르치는 김동건 교수가 그의 책 「현대인을 위한 신학강의」(대한기독교서회) 서문에 적은 내용이다. 김 교수는 지난 해 초 ‘쉽고 재미있는 신학’을 내세우며 이 책을 펴냈다. 죄와 구원, 성령, 죽음, 부활, 종말 등 총 12개 신학 분야의 핵심들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했다 .

반응은 폭발적이었다. 그의 책은 일반 교인들은 물론, 신학생들의 필독서가 되며 단숨에 베스트셀러로 뛰어올랐다. 독자들은 “지금까지 접해 본 어떤 신학책보다 쉽고 친절해서 단숨에 끝까지 읽었다” “이 책을 읽고 신앙인으로 그 동안 가졌던 많은 고민들이 풀렸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심지어 한 주부는 “남편이 신학공부를 한다. (남편이) 매일 딱딱한 이야기만 해 신학공부는 힘들다고만 생각했다. 그런데 이 책을 읽는 순간 가슴이 벅차올랐다”고 감격했다. “12년 간 신학을 공부했어도 늘 공허했는데 이 책을 읽고 ‘아멘’을 수없이 반복했다”는 신학도도 있었다.

주로 신앙고백과 간증, 묵상 류(類)의 책들이 각종 베스트셀러 순위를 점령해 왔던 점을 감안하면, 신학책인 이 책의 인기는 극히 이례적이다. 한 인터넷 서점은 독자들의 이 같은 반응에 대해 “교인들은 신학을 싫어했던 것이 아니라, 어려운 신학을 싫어했던 것”이라며 “쉬우면서도 신앙을 위한 신학에 그들은 목말라 있다”고 평가했다.

학문 아닌 신학을 학문으로만 접근했다

신학이 교회를 떠났다. 신앙을 위해, 교회를 위해 존재해야 할 신학이 언제부턴가 소수의 학자들과 목회자들만의 전유물이 돼버렸다. 밤새 성경을 읽고 가르치고 배우던 사경회는 사라지고, 감정의 분출만이 난무하는 이름 모를 부흥회가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신학은 학위를 위한, 그래서 대형교회 청빙의 수단이 돼버린 느낌을 지울 수 없다. 교인들 사이에선 “신학교 교수 될 사람 따로 있고, 교회 목회자 될 사람 따로 있다”는 말이 돌고 있는 현실이다.

원인이 뭘까. 많은 것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다만 분명한 건, 신학이 일종의 ‘진입장벽’이라는 것, 그리고 기득권 유지의 필수 조건이라는 것이다. “평신도와 목회자를 구분하고 신학자의 권위를 내세우기 위해선 신학은 어려워야만 한다”는 한 신학생의 비판은 어느 정도 한국교회의 현실을 대변하고 있다. 신학을 딛고 보다 높은 곳에 서려는 죄성이, 하나님을 더 뚜렷하게 나타내야 할 신학을 오히려 그를 가리는 것으로 몰아간 건 아닐까.

백석대 설립자인 장종현 박사는 얼마 전 한 학술대회에서 “백석대의 설립자로 신학교육의 현장을 지켜보며 두 가지 큰 의문을 가졌다”며 “하나는 신학교가 발전하고 신학자가 많아지면 교회가 부흥해야 할 텐데 실제론 그렇지 않았다는 것과 또 하나는 오래 공부한 신학자일수록 기도와 영성생활 등 신앙적인 모습이 부족했다는 것”이라고 말한 적이 있다.

그러면서 그는 “본래 학문이 아닌 신학을 학문으로 간주하고 학문으로만 접근했다”며 “신학교육 자체에 문제가 있다. 내가 깨달은 가장 중요한 것은 신학 교수들이 신학을 학문으로만 접근해 가르치고 있다는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서울여자대학교 기독교학과 김기숙 교수는 「현대인을 위한 신학강의」 서평을 교계 한 잡지에 내며 “이 책은 학자들이 흔히 범하는 스스로 알지 못하는 많은 말들을 각주로 대신하려는 무책임한 글이 아니다. 이 책에는 신학자의 교만이 없다”고 했다. 춘천중앙교회 권오서 감독도 과거 신학과 목회를 논하는 자리에서 “신학 교육이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바뀌어야 한다. 오늘의 신학교육이 과연 현장이 정말 필요로 하는 목회자를 길러낸다고 할 수 있는지 의문스럽다”고 했다.

이종윤 목사(서울교회 원로)는 “과거 유럽의 종교개혁은 신학의 개혁이었다”고 했다. 구원은 그에 합당한 행위가 있어야 한다는 ‘상식’을 깨고 오직 은혜, 오직 믿음, 오직 성경이라는 새 ‘구원론’이 결국 종교개혁을 불러왔다는 것이다. 그리고 일부 교회 지도자들만이 독점하던 성경은 누구나 읽을 수 있는 글로 인쇄돼 일반에 보급됐다. 어렵고 복잡한 줄만 알았던 진리는 실상 쉽고 단순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