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원 교수(한양대학교).
공의(公義, righteousness)는 정의(正義, justice)와 같은 의미로 볼 수 있다. 공의가 보다 종교적 의미를 가지다면 정의는 보다 법적인 의미에 무게를 두고 있다.

인간은 이념이나 가치에 의해 인격이 형성되며 공의는 인간 삶의 실천적 측면을 따진다. 공의는 어떤 사회에서 개인의 자유와 인격권을 어떻게 정립할 것인가를 다룬다. 그래서 공의는 개인 상호간에 설정되는 관계와 개인과 사회 간의 관계 설정에 관한 결정에 있어 개인이 수용할 수 있는 수준을 알려준다. 그래서 사회적 결정과 합리적인 개인의 의사결정의 관계를 보편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타당한 기준 또는 원리를 공의라고 하겠다. 공의가 인간에게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것은 그것이 사회생활을 지탱하는 기본원칙 중의 하나로 모든 사람들이 바람직하다고 보는 덕목이기 때문이다.

경영학적 용어를 빌리면 어떤 조직체에서든 우리는 거래에 의해 관계가 성립되고 약하든 강하든 갑과 을의 관계가 이루어진다. 같은 동등한 지위 하에서도 거래에 대한 의사결정자가 있고 그 결정에 의해 움직이는 당사자가 있다. 공의가 선악을 판단하는 하나님의 덕목이라고 한다면 이러한 거래 관계에서도 선과 악을 구변 할 수 있을까. 명백하게 선악을 구분할 수 있는 거래행위는 오히려 걱정스럽지가 않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그 판단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불분명한 경우, 정확히 구분하기가 어려운 경우, 관습적인 경우, 무의식적인 경우는 공의로움을 판단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 권력과 지위를 가지고 있는 위치에 있는 신분일수록 그의 행위가 공의로운가를 결정내리기는 어려운 사회나 조직일수록 공의로움의 수준은 낮아서 문화적 후진국이라 할 수 있다.

더욱 공의로운 사회일수록 그 사회는 안정된 상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공의의 원칙을 받아들이고 다른 사람들도 그러한 공의의 원칙을 받아들인다고 인식될 때, 그리고 그 사회의 근본적인 제도가 이러한 원칙을 존중하고 수용하고 있을 때, 그 사회는 질서 있는 사회이고 소위 문화적인 선진국이라 할 수 있다.

연초에 한국의 대표적인 교회에서 보여준 무질서는 한국 교계에서의 공의로움의 현주소를 보여주었다. 구제역으로 나라가 휘청일 때 자신의 위치에서 책임 있는 행동을 하기 보다는 임시방편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많은 사람들에 의해 안전에 대한 질서는 무너졌다.

수많은 경제범죄나 기업범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리 주위에는 공의로움을 추구하는 것이 덕목이기는 하지만 개인이나 집단의 이익을 위해 그러한 덕목쯤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쉽게 버릴 수 있다고 여기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우리 사회가 공의로움에 대한 갈망, 공의로움을 추구하려는 노력, 그리고 질서를 지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덕목인가에 대한 각고의 노력과 그 덕목을 지키는 사람에게 공정한 인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 우리는 현재의 문화수준에 머물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