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플란트 치과병원
임플란트는 치아의 결손이 있는 부위나 치아를 발치한 자리의 잇몸뼈에 골유착성 임플란트 본체를 심어서 자연치에 가까운 기능을 회복시켜 주는 치료이기에 잇몸뼈의 상태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잇몸뼈가 부족한 경우엔 우선적으로 잇몸을 튼튼하고 견고하게 만드는 치료과정이 필요하다. 일반적인 치과병원에서 사용하는 뼈를 만드는 방법에는 골이식과 골유도재생이 있다. 골 이식술은 뼈가 부족한 부위에 이식재를 채워 넣고 봉합하여 파골세포와 조골세포의 활동으로 이식부에 내 뼈가 채워지게 하며, 골유도재생술은 뼈가 채워질 공간에 재생속도가 뼈보다 빠른 연조직이 먼저 차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한 차단막을 사용해 뼈조직이 재생되도록 돕는다.

결손부의 형태가 차단막 내부의 공간유지가 힘든 상황이라면 기둥 역할을 해줄 나사못 등을 활용하기도 하고, 이식재를 채워 넣고 차단막을 덮어서 골이식술과 골유도재생술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수플란트 치과병원의 김선영 대표원장은 "골이식재의 종류는 자가골(내 뼈), 동종골(다른 사람의 뼈), 이종골(동물의 뼈), 합성골(인공으로 만든 뼈) 등이 있다. 일반인들이 생각하기에는 자가골만이 제대로 붙어서 내 뼈가 되는 것이고, 다른 사람의 뼈나 동물의 뼈, 인공 뼈가 내 뼈처럼 제대로 붙어 있기 힘들 것 같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생각이 아주 틀린 것은 아니지만 골이식재가 철컥 하고 그대로 붙어서 내 뼈의 일부가 되는 것은 아니고, 내 몸의 세포들이 이식재를 갉아 먹어 가면서 다시 내 뼈를 채우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기 때문에 이식재의 종류에 대해서는 환자 입장에서 고민하거나 겁을 낼 이유는 없다"고 말했다.

이어서 그는 "자가골의 경우 이식재에 포함되어 있는 자기의 세포들이 함께 작용하여 뼈가 되는 효율이 우수하나 이식할 뼈를 떼어 내기 위한 별도의 외과적 수술이 필요하다는 것이 큰 단점이다. 동종골은 세포들은 전부 제거된 상태이나 이종골보다 우수한 효율을 보인다. 그러나 다른 사람의 뼈라는 거부감과 높은 가격이 단점이다. 합성골은 다른 이식재들에 비해 뼈를 만들어 내는 효율은 부족하지만 인공으로 만들어 내기에 사용량의 제약이 거의 없고 그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여 환자의 잇몸뼈의 결손부 형태와 건강도가 뼈를 만들기에 어렵지 않다면 그 역할을 하는 데 있어서 활용성이 가장 높다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더불어 그는 "이러한 일반적인 방법으로 만들기 힘들다면 키 크는 수술과 같은 원리로 뼈에 금을 긋고 특수한 장치를 통해 늘려나가는 골신장술이나 뼈가 만들어지는 효과를 높여주는 골성장인자이용법 등이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김선영 대표원장은 "부족해진 잇몸뼈는 스스로 재생되어 원상복구되기 어렵고, 잇몸뼈의 상태가 나쁠수록 뼈를 만드는 기간이 길어질 수 있다. 잇몸뼈가 건강할 때부터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부족한 잇몸뼈를 정상에 가깝게 만들었다고 해도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다시 망가질 수 있으니 사후관리 또한 매우 중요하다. 누구라도 어렵지 않게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을 만큼 잇몸뼈가 건강한 상태면 다행이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엔 치료 비용보다는 제대로 잘할 수 있는 병원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