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선영
▲강선영 박사(한국상담심리치료센터 대표, 한국목회상담협회 감독)
뜨겁고 후텁지근한 긴 여름이 지나가고 있다. 무더위는 쉽게 감정을 상하게 하고 짜증이 나게 한다. 그러나 짜증을 낸다고 해도 덥지 않은 것도 아니고 짜증을 내면 열이 나서 더 짜증스러워진다. 여름이 더운 건 당연하다. 연일 뉴스에서는 최고의 무더위가 계속 되고 있다며 호들갑스럽게 떠들고 있다. 

조금만 걸어도 땀이 줄줄 흐를 정도로 덥다. 그러나 무더위가 우리를 근원적으로 불행하게 할 수는 없다. 너무 시끄럽게 더위를 부정적으로 묘사하고 마치 난리라도 난 것처럼 떠드는 것이 더 문제다. 우리나라는 안 좋은 현상이 있으면 각 방송사들이 너무 앞다투어 더욱 더 강렬하게 뉴스거리를 만든다. 그리고 너무 부정적으로 묘사한다. 

사실 좀더 이슈가 되었으면 하는 것은, 자살을 막으려는 외침들이다. 자살을 막기 위한 노력들이 더 많이 방송에서 거론되기를 바란다. 자살의 원인과 자살의 예방과 자살하지 않게 하려는 수많은 방법들이 자연스럽게 논의되는 방송들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자살률 1위인 나라에서 먹는 방송(먹방)이 각 방송사마다 경쟁하듯이 난무하는데 자살을 막기 위한 내용은 볼 수가 없다. 

어떻게 하면 맛있게 먹을까, 어떻게 하면 맛있는 곳을 잘 알고 갈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살찌지 않고 맘껏 먹을 수 있을까, 몸에 좋은 음식들은 어떤 것일까....  이런 내용들이 매일 공중파와 케이블에서 방영된다. "무엇을 먹을까, 무엇을 마실까!"에 대한 이야기만 하고 정작 "죽는 사람"에 대해서는 무관심한 이상한 현상들....

어쩌면 너무 힘들고 고통스러운 이야기는 하기도 힘들고 듣기도 힘들어 회피하는 데 너무 익숙한 우리들의 모습이 그대로 나타난 것일지도 모른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힘든 일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그냥 빨리 잊어버려라"고 쉽게 말한다. 자신도 잊고 싶은 힘든 일이 너무 많아 다른 사람의 힘든 모습을 보기 힘들어 하기 때문이다. 

"빨리 잊어버려!"라는 말이 얼마나 비인간적이며 비치유적인 말인지 알아야 한다. 상처의 기억은 치유되기 전에는 결코 잊혀지지 않기 때문이다. 빨리 잊지 못하는 자신을 찌질하다고 생각하게 만들고 자기혐오감에 빠져들게 한다. 그래서 이 말은 잔인한 말이다. 

정말 절실하게 떠들어야 할 '자살' 이야기들, '자살을 막자'는 이야기들이 자연스럽게 모든 방송사마다 앞다투어 방송되기를 간절히 바란다. 그래야 일반 사람들이 조금은 인식하고 주위에 자살하려는 사람들을 눈치채고 도와줄 수 있다. 

미디어의 힘은 대단하다. 한번 방송에 수 십 만명의 사람에게들에게 깨우침을 주고 위로를 줄 수 있다. 여름이니까 당연히 더운 날씨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시간에, 지금 이 시간에도 죽음을 선택할 만큼 절망에 빠져 있는 사람들에게 관심을 가졌으면 좋겠다. 자살이 남의 이야기라고 무관심하게 반응하지 말고 조금이라도 관심을 가지고 그들을 도와주었으면 좋겠다. 

며칠 전에는 서울 노원구의 한 학원 화장실에서 초등학생이 싸늘한 시신으로 발견 되었는데 이 초등학생은 이제 겨우 열 두 살이었다. 무슨 이유에서 자살했는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그 작은 아이가 무슨 고뇌가 그토록 많아서 스스로 죽어야 했을까.  

청소년들의 자살률이 심각하다는 것은 많이 알려져 있다. 한 해에 수 백 명의 청소년들이 자살하고 있다. 최근에는 초등학생들의 자살률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통계청에서는 지난 2000년부터 2014년까지 스스로 목숨을 끊은 초등학생 나이의 아이가 641명이라고 했다. 매년 수십 명의 어린 아이들이 스스로 세상을 버렸다. 작년에도 평소 가족관계 안에서의 고통을 겪던 강남의 한 초등학생이 '가족들에게 미안하다'는 내용의 유서를 남기고 생을 마감했다. 강북의 한 초등학생은 목을 매 숨졌다. 인천에서는 부모에게 혼이 난 초등학생이 빌딩 옥상에서 몸을 던지기도 했다. 

그 아이들은 거의 대부분 서서히 진행되어 중증이 된 우울증을 앓고 있었을 것이다. 부모의 세심한 보살핌이 있었다면 그런 충동적이고 극단적인 선택을 하지 않았을 것이다. 환경에서 오는 상처받은 감정이 마음속에 쌓이고 쌓이면 아이들에게도 중증의 우울증이 생긴다. 

처음에는 약하게 생겼겠지만 환경과 부모의 양육태도에 아무런 개선이 없다면 중중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방치된 아이들이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것이다. 그 조금만 아이들이 무슨 용기가 있어서 죽는단 말인가. 용기가 아니라 병적인 상태에서 정신없이 그렇게 하는 것이다. 

아동기 아이들은 다른 연령에 비해 주변 환경의 영향에 더욱 취약하다. 나이가 어릴수록 우울감을 느끼게 되었을 때 감정 제어가 안 되고 더 큰 통증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아동기 아이들의 자살은 평소 우울감을 보이지 않았거나 학교 생활에서 특별한 문제가 없었던 아이들에게서도 상당수 발생한다. 

아동기 청소년기 아이들은 주로 가면우울증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부모가 우울증을 파악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수시로 대화를 하면서 힘들어 하는 고민이 없는지를 이야기하게 해야 한다.

국가적으로 사회적으로 방송계에서도 다른 무엇보다도 자살을 막으려는 방안을 모색하고 계속적으로 떠들어 주었으면 한다. 하나씩 사건이 터질 때만 잠깐 알려주고나서 또다시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먹방에 묻혀버릴 것이 아니라 자살에 대한 대안을 다루어주었으면 한다. 온난화로 지구가 뜨겁다는 이야기도 해야겠지만 지금, 여기에서 더욱 중요한 현실의 자살 문제를 더 중요하게 다루어주었으면 한다. 

자살 이후 유가족에 대한 대책은 소리없이 조용히 이루어져야 한다. 자살시도자가 유가족 대책이 잘 되어 있는 것을 먼저 알게 된다면 별 죄책감도 없이 더 편하게 죽을 수도 있지 않을까. 너무 답답하고 가슴 아프다. 

자살에 대한 이야기가 계속 되면 주위 사람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될 것이다. 자살하는 사람들을 외면하고 회피하지 않는다면 자살에 대한 구체적인 더 좋은 대안들이 나올 것이다. 탁상공론 같은 이야기만 하면서 먹는 재미만 찾는 사회가 아니라, 죽어가는 사람들을 돌보고 관심을 가지고 보살펴주는 사회가 되기를 안타까운 심정으로 또다시 말하게 된다.  

한국상담심리치료센터 www.kclatc.com
강선영의 힐링카페 http://cafe.wowcc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