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한
▲김영한 박사. ⓒ크리스천투데이 DB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회장 한상화)가 21일 경기도 안양 새중앙교회(담임 박중식 목사)에서 '신앙고백서의 현재적 의의와 적용'을 주제로 제1회 '교회를 찾아가는 조직신학회'를 개최했다.

이날 김영한(기독교학술원장)·김길성(총신대 명예교수) 박사가 기조강연자로 나섰고, 이후 정요석(대신총회신대)·황덕형(서울신대)·정홍렬(아신대)·이경직(백석대) 박사가 주제발표했다.

“구미 교회들, 신앙고백서 지키지 못하고 해체 일로”

먼저 '신앙고백서의 현재적 의의와 적용: 개혁교회의 관점에서'를 제목으로 기조강연한 김영한 박사는 "교리는 공교회가 믿는 신앙조항과 객관적 신조를 의미하는 데 반해, 신앙고백은 이를 교회와 신자 공동체가 보다 실존적으로 믿고 받아들이는 것"이라며 "오늘날 신앙고백서는 전통과 권위가 무너지고 있는 포스트모던 시대에서, 교회가 신앙 정체성을 확인하고 시대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절실히 요청된다"고 했다.

김 박사는 "구약 예언자의 예언과 사도의 신앙고백은 교부와 종교개혁 이후 개혁교회 등 역사적 기독교가 추구하는 신앙고백의 기초였다"며 "오늘날 구미(歐美)교회는 신앙의 선조들이 물려 주었던 위대한 신앙의 유산인 신앙고백서를 그대로 지키지 못하고 교회 자체가 해체되는 일로에 있다"고 했다.

그는 "오늘날 포스트모던 시대에 지구촌 교회에서 세속주의에 영합하는 교회들마다 신앙고백서의 의미를 상실하고 있다"며 "이들 세속주의(종교다원주의와 동성애 허용 등)에 물든 교회들이 포스트모던 시대에 접어들어서 자기 정체성을 상실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포스트모던적 시대의 무신론과 인간 신격화 흐름 속에서 나타나는 현대 인간의 자기 상실과 해체를 지적하고, 탕자인 현대 인간들로 하여금 창조주요 구속자이자 완성자 되신 성부·성자·성령 하나님께로 되돌아오게 하며, 역사의 종말이자 구원이요 목표인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과 하나님나라의 도래를 증거하기 위해 신앙고백서는 절실히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김 박사는 "신앙고백서는 오늘날 포스트모던 사회에서 개혁교회가 자기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필요한 것"이라며 "여기에 다시 한 번 17세기 스페너가 시작한 제2의 종교개혁 운동인 경건주의, 18세기 영국의 웨슬리와 휫필드의 대각성운동, 20세기 평양의 대각성운동, 그리고 내년 500주년을 맞는 종교개혁에 대한 심층 연구와 재조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신앙고백서, 언제나 성경에 종속돼야"

다음으로 김길성 박사는 '교회와 신앙고백서'를 제목으로 기조강연했다. 김 박사는 각 교단의 신앙고백을 살핀 후 "장로교회 또는 개혁주의 신학을 표방하는 교단들 사이에서도 엄청난 신학적 차이가 있음을 각 교단의 신앙고백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며 "동시에 이 땅에 전래된 장로교회의 신앙고백인 12신조와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들에 대한 입장의 차이로 말미암아, 장차 장로교회 안에서도 성경적인 에큐메니칼 운동에 심각한 장애가 생길 수 있다"고 했다.

개혁신학회 2016년 봄 학술대회
▲김길성 박사. ⓒ이대웅 기자

김 박사는 "신앙고백서는 매우 큰 가치와 필요가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언제나 성경에 종속되어야 한다"면서 "많은 교단이 모여서 하나의 문서를 만들어 낸다고 해서 그것으로 이상적인 신앙고백서가 되는 것이 아니며, 그 시대의 다양한 문제를 모두 다루었다고 해서 더 훌륭한 신앙고백서가 되는 것도 아니다. 신앙고백서는 새로운 세대의 사람들을 고려해야 하지만, 언제나 성경이 말하고자 하는 것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고, 또한 이것을 기반으로 하여 성경의 내용이 더욱 건강하게 이해되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가장 근본적인 전제를 상실하게 된다면, 그 근본적 존재 이유를 상실하게 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는 "한국의 장로교인들은, 조국 근대화와 경제 성장의 터널을 지나면서 통일된 조국을 염원하며 세계 속에 자리한 민주국가로 정착하는 대한민국의 역사적 현실 속에서, 우리의 선배들이 역사적 개혁주의 전통을 따라서 오직 하나님 중심, 성경 중심, 교회 중심의 목회를 지향해 온 그 신학과 신앙의 정체성이 무엇인지 되돌아보면서, 우리가 속한 교회가 고백하고 있는 신앙고백서와, 또한 우리 교회 또는 우리가 속한 교단의 신학적 정체성과 방향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져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