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성돈 정재영
▲이날 발표한 조성돈(왼쪽)·정재영(오른쪽) 교수. ⓒ크리스천투데이 DB

굿미션네트워크(회장 한기양 목사)와 목회사회학연구소(소장 조성돈 교수)가 19일 저녁 서울 도림감리교회(담임 장진원 목사)에서 '목회사회학회' 창립 기념 세미나를 개최했다. 동 학회는 목회사회학 연구를 통해 그 학문적 저변을 넓힐 뿐 아니라 한국교회의 변화까지 이끌어 내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한국교회 현실을 말하다!"라는 주제로 열린 이날 세미나에서는 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 조성돈 교수(목회사회학)와 정재영 교수(종교사회학)가 각각 발표했다.

먼저 "시민사회 속의 기독교회"라는 주제로 발표한 조성돈 교수는 "최근 한국교회는 사회와의 소통에 문제점을 드러내며 교회의 울타리 안에 갇힌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며 "아프가니스탄 피랍 사태를 즈음하여 나타난 사회적 질타와 지적들은 그간 한국교회가 개교회 성장에 몰입한 결과를 보여준 것 같았다. 즉 이 사회 안에서 한국교회라는 공교회로서의 모습도 잃어버리고 예언자적 역할마저도 포기한 자화상을 사회를 통하여 보게 된 것"이라고 말문을 열었다.

그는 "그나마 다행인 것은 이제 한국교회가 더 이상 개교회 중심의 이기적인 모습으로는 기본적인 존립마저도 위험하다는 위기감을 가진 것"이라며 교회에 주어진 과제로 △주체화된 시민을 형성할 것 △참여의 통로가 될 것 △시민사회가 요구하고 있는 가치를 창출·유지할 것 등을 꼽았다.

특히 조 교수는 "시민사회는 모두가 추구할 수 있는 공공의 가치를 필요로 하며, 동시에 그 구성원들이 그것을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필요로 한다"며 "교회는 바로 이 가치들을 창출하며 그 구성원들과 나눌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하나님의 통치는 성경적·신학적 가치의 실현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을 개인적 의견에 비추어 본다면 사랑·정의·평화, 즉 교회의 울타리를 넘어 사회적 공감을 얻을 수 있는 가치들"이라며 "사회와 달리 교회는 이러한 가치들에 익숙하고 이를 함께 나눌 수 있는 좋은 환경을 가지고 있다. 단지 이것을 성경과 설교에서 벗어나게 만드는 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을 뿐"이라고 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사회는 어쩌면 별수 없이 지독한 욕심에 갇힌 각 개인들의 집합일 수 있다. 그들은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며 더 나은 이익을 보장해 주는 집단 속에서 똬리를 틀고 수많은 남을 만들어 내고 있다"며 "이 욕심에 터된 집단과 이기의 굴레를 초월할 수 있는 가능성은 공동체에 의지된 시민사회의 형성이며, 그것은 교회라고 하는 기독교의 사회적 형체가 감당하여야 할 이 시대의 소명이라고 믿는다. 이제 이 한국사회에서 기독교는 하나님이 허락하여 주신 다양한 통로에서 선한 사마리아인 된 우리 교인들을 바른 민주시민으로 세워나가는 일들을 감당하여, 하나님나라의 대망을 맛보아야 할 것"이라고 했다.

두 번째로 "시민사회에서 정의를 위한 교회의 역할"을 주제로 발표한 정재영 교수는 "최근에 사회적인 물의를 빚은 사람들이 교회 장로를 비롯한 기독교 신자인 경우가 이어지면서, 과연 한국의 기독교가 종교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 의문을 제시하는 사람들이 많았다"며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정의롭고 공평한 사회를 이룰 수 있을까? 그리고 거기에서 기독교는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졌다.

그는 "우리 사회에서 정의롭지 못한 현상들이 빈발하는 것은, 정의가 무엇인지 모르기 때문이 아니라 현실에서 힘을 발휘하지 못하기 때문"이라며 "다양한 이해관계와 가치가 충돌하고 있는 공론의 장인 시민사회 영역에서 자기중심적인 개인들을 연대하게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라고 했다.

정 교수는 "도덕이 살아 있는 사회에서는 소수에 대한 배려와 약자 보호를 기대할 수 있고, 이러한 도덕적인 힘의 원천이 되는 것이 바로 종교"라며 "사회가 변하고 삶의 기준이 되는 규범이 흔들려서 가치 판단이 어려울수록 사람들은 더욱 종교에 의지하게 된다. 정의롭지 못한 현실과 불확실한 미래에 대하여 종교가 기준점이 되어 주기를 바라는 것"이라고 했다.

그는 "특히 교회 소그룹을 기독교 시민 조직으로 활용하여 지역 공동체 운동에 적극 참여한다면 시민 사회 안에서 사회적 연대를 강화함으로써 우리 사회에 정의를 세우는 데 교회가 일조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는 종교의 공공성을 회복하는 중요한 방법이기도 하다"고 했다.

그는 "교회는 시민 사회에서 공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많은 자원들을 가지고 있다. 또한 현대 사회에서 종교에 대하여 기대하는 것은 사회에서 무시되고 있는 도덕의 차원을 다시 공공 영역으로 들여 옴으로써 사회 구성원들이 개인 및 집단 이기주의에서 벗어나 다른 사람들에 대한 책임과 의무를 갖도록 하는 데 기여하는 것이다. 사회에서 외면받는 한국교회가 이러한 시민 사회의 힘에 기여할 수 있다면, 공공 종교로서의 역할을 다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