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학술원
▲앞줄 왼쪽에서 세 번째가 김영한 원장, 맨 오른쪽이 안계정 박사. ⓒ기독교학술원

기독교학술원(원장 김영한 박사) 제51회 월례기도회 및 발표회가 5일 서울 한국교회백주년기념관에서 '틸리케의 영성'을 주제로 열렸다. 발표회는 김영한 원장의 개회사 후 안계정 교수(대신대)의 발표, 장호광(안양대)·이관표(연신원) 교수의 논평 등으로 진행됐다.

'헬무트 틸리케의 영성 연구'를 제목으로 발표한 안계정 박사는 먼저 틸리케(Helmut Thielicke, 1906~1986) 영성의 세 가지 특징으로 △말씀의 영성 △소통의 영성 △고난의 영성을 꼽으며, 특히 말씀의 영성에 대해 "지난 세기에 틸리케만큼 동시대인의 영혼을 격렬하게 뒤흔든 신학자이자 설교자는 없었다고 했다.

그는 "틸리케는 그의 조직신학 주저 「개신교 신앙」 제1권에서 '하나의 교의학은 그것이 설교될 수 있는 만큼 좋은 가치를 갖는다'고 주장했다"며 " 말로 선포되는 설교와 글로 표현되는 교의학적 진술이 그 본질에서는 같다는 의미다. 다시 말해 설교 강단에서 선포될 수 없는 교의학적 진술은 그만큼 가치가 없다는 뜻이기도 하다. 바로 이것이 틸리케에게서 발견되는 말씀의 영성의 본질"이라고 했다.

이어 소통의 영성에 대해 그는 "틸리케는 대학 강단에서 강의만 하는 신학자가 아니었고, 교회에서 설교만 하는 목사도 아니었다. 그는 라디오나 TV, 또는 쉬운 에세이 같은 출판물을 통해 기독교신앙에서 멀어진 동시대인들과 소통했고 이들에게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했다"고 했다.

안 박사는 "내가 아는 한, 틸리케는 지난 세기 유럽의 신학자 가운데서 가장 열심히 전도했고 또 가장 많은 새 신자를 교회에 등록시킨 분"이라며 "그의 설교집을 통해, 신앙 에세이를 통해, 라디오 강연을 통해, 사회활동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기독교신앙을 다시 갖게 됐다. 우리는 틸리케의 희망에 경의를 표해야 한다"고 했다.

끝으로 고난의 영성에 대해 그는 "예수 그리스도의 무력(無力)과 비하(卑下)는 그리스도를 따르는 자들에게 고난의 결단을 요청한다. 이것이 틸리케의 '고난의 영성'의 본질"이라며 "온 세상의 주인인 예수는 십자가에서 어떤 저항도 없이 죽으셨다. 그를 따르는 제자들은 군사혁명을 기대했지만, 예수는 아무 힘없이 죽으셨다. 그러나 여기에 바로 교회의 결정적인 힘이 있다고 틸리케는 말한다. 십자가에 못 박힌 주님은 우리를 고난으로 부른다. 이 부르심에 응답하는 것이 신앙이며, 이것이 고난의 영성"이라고 역설했다.

안 박사는 "우리가 틸리케의 삶과 신학에서 발견해낸 말씀의 영성, 소통의 영성, 고난의 영성은 독일교회의 새로운 부흥을 위한 귀한 자양분임에 틀림없다"면서 "동시에 그것은 우리 한국교회에도 아주 의미 있는 도전이다. 왜냐하면 이제 한국교회는 남 걱정할 때가 아니라 스스로를 걱정해야만 하는 막다른 골목에 몰렸기 때문"이라고 했다.

한편 발표에 앞서 '헬무트 틸리케의 성령론적 착상'을 제목으로 개회사한 김영한 원장은 "틸리케는 현대적 신학사고를 '데카르트적 신학'(Cartesianische Theologie)과 '비데카르트적 신학'(nicht-Cartesianische Theologie)으로 구분한다"며 "현대신학의 일반적인 두 근본 유형(beide Grundtypen)인 '현대주의'(modern)와 '보수주의'(konservativ)라는 개념이 신학적 개념으로는 불충분하기 때문에 틸리케는 이를 근세철학자 데카르트적 사유(Cartesianisches Denken)를 중심으로 '데카르트적' 유형과 '비데카르트적' 유형으로 나눈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틸리케는 성령론적 신학의 착상을 제시함으로써, 이 신학의 두 가지 상호대립적인 유형을 극복하고자 한다"며 "기독교 신앙이란 먼저 신에게서 인간에게 주어진 계시진리(비데카르트적 요소)를 우리의 실존과 지성에 있어서 획득하고 수용하는 것(데카르트적 요소)이므로, 이 양 유형을 종합해야 한다는 것이다. 틸리케는 '신앙이란 나를 향한 신의 언약을 추인(追認, Ratifizierung)함'이라고 했고, 성령을 '새롭게 창조하고 동시에 옛것에 접촉하는 자'로서 파악한다"고 했다.

김 원장은 "틸리케의 성령론적 착상은 신학적인 보수주의와 자유주의의 대립으로 치닫고 있는 오늘날의 신학계에 데카르트적 사고 유형과 비데카르트적 사고 유형을 극복하려는 제3의 사고유형"이라며 "성령론적 착상은 칸트적 자율성의 사유가 죽고 예수 그리스도의 영 안에서 새롭게 태어나는 중생한 새로운 사유 안에서 가능하다. 그것은 자율성이 아니라 신율성이다. 하나님의 말씀과 뜻이 중심이 되는 사고이다. 하나님의 성령의 역사는 주어진 역사적 현실에서 도피하는 것이 아니라 참여하는 것이고 십자가를 지는 것이며 절충의 윤리로서  현실의 갈등을 해결하는 것이다. 이러한 그의 성령론적 착상은 오늘날 보수와 진보의 갈등 속에 있는 한국사회와 교회의 문제에 대하여 하나의 방향을 제시해 준다"고 강조했다.